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5억 원이 없어서'... 재선충병 방제 예산 반납 -R (250423수/뉴스데스크)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전남지역 소나무가 재선충병으로 말라죽고 있습니다. 방제 작업이 확산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피해가 커지고 있는데 지자체는 국가로부터 받은 방제 예산을 반납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김단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사계절 내내 푸르러야 할 소나무가 단풍이 물든 것처럼 갈색으로 변했습니다. 나뭇잎들은 뒤틀리고 말라붙었습니다. 모두 재선충병에 걸린 나무입니다. ◀ st-up ▶ "야산뿐만 아니라 도로 옆 나무들까지 소나무재선충병에 걸렸는데 방제는 손도 못 쓰고 있습니다." 방제 작업이 재선충병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전남지역 소나무재선충병 피해 규모는 2021년 2만 그루에서 지난해 4만 4천 그루로 2배 이상 늘었습니다. 올해는 더 급증해 8만 6천여 그루가 피해를 입었고, 감염 의심 나무도 16만 그루에 달합니다. 감염 나무의 90% 이상은 전남 동부권에 몰려있습니다. 방제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데 이를 책임지는 지자체는 오히려 관련 예산을 반납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올 초, 산림청이 지원한 재해대책비 30억 원을 순천시는 절반만 받았고, ◀ SYNC ▶ 박종필/전남도 환경산림국장(4월 17일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 "순천 같은 경우는 30억을 배정했는데 15억 원을 못 쓰겠다고..." 이를 다시 여수시에 지원하려 했더니 여수시도 거부했습니다. ◀ SYNC ▶ 이광일/전남도의원(4월 17일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 "그러면 여수시로 15억 원을 배정했는데 안 받았다 그 말이에요?" ◀ SYNC ▶ 박종필/전남도 환경산림국장(4월 17일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 "안 받았고요. 그전에 여수시 자체로 20억을 또 별도로 국비 아닌 20억을 별도로 심각성을 알고, 편성해 놨는데 그 돈조차도 감액을..." 지자체는 난감하다는 입장입니다. 재해대책비는 국비와 도·시비가 각 절반씩 투입되는 매칭사업인데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교부세 감소로 인한 재정난 때문에 시비 확보가 어렵다는 겁니다. ◀ SYNC ▶ 지자체 관계자(음성변조) "우리는 재선충 사업만 보지만 우리 시에서는 전체적인 시 전체 예산을 다 봐야 하기 때문에..." 재해대책비 15억 기준, 시가 감당해야 하는 예산은 5억 2천여만 원. 전라남도는 결국 남은 예산을 다른 지자체에 배정했습니다. MBC뉴스 김단비입니다. ◀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