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나르시시스트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하는 나의 무의식적 심리 |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에서 벗어나는 방법, 정신과 의사가 알려드려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나르시시스트 #자기애성성격 #트라우마본딩 트라우마 본딩이란 주로 가정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수십년전부터 연구가 되어 온 개념으로 왜 우리가 나르시시스트와의 건강하지 않은 관계 속에서 계속 머물러 있게 되는지, 그 무의식적 심리를 설명해주는 개념입니다. 정확한 의미는 한 관계 안에서 권력과 힘 측면에서 명백히 상하 관계에 있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있는데,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보상과 처벌을 번갈아 가며 주는 가운데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일방적으로 강력한 유착이 생기고, 그래서 자율성이 없어지고, 자신이 독립적인 개체라는 느낌이 사라져서 그로 인해 그 관계를 떠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고 비정상적인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이야기 합니다. 오늘은 상대 나르시시스트가 나에게 얼마나 큰 심적 고통을 가하는지, 지금 이 관계가 얼마나 건강하지 않은지 알면서도 여전히 나르와의 관계를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 순서🌸 00:00 인트로 00:40 트라우마 본딩이란? 06:47 트라우마 본딩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07:22 내가 나르와 트라우마 본딩이 되어 있다는 신호 10:36 현재 나르와의 관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기 위한 꿀팁! References) • TRAUMA BONDING Explained • 8 common patterns in trauma bonded re... Dutton, Donald G.; Painter, Susan (1993). "Emotional attachments in abusive relationships: a test of traumatic bonding theory". Violence and Victims. 8 (2): 105–20. doi:10.1891/0886-6708.8.2.105. PMID 8193053. S2CID 1724577. Dutton DG, Painter SL (1983). "Traumatic Bon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Attachments in Battered Women and Other Relationships of Intermittent Abuse". Victim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6 (1–4): 139–155. ______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환자를 보는 정신건강의학과의 특성상 댓글로는 진료 및 자세한 답변을 드리는데에 제한이 있음을 양해 부탁드리며 댓글을 통한 진료는 하지 않습니다. 근거없는 비난과 비방을 할 경우, 다른 분들을 위해 차단됨을 공지 드립니다. 영상으로 다루었으면 하는 내용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유익 내용으로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Instagram: / talkingdo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