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경주 거주 고려인 6천 명…“맞춤형 정착지원 대책 필요” / KBS 2024.01.26.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고향인 한국으로 새로운 삶을 찾아 온 고려인 동포들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경북에 정착한 고려인의 90%가 경주에 있다고 하는데요. 이들의 지역 사회 적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주 원도심의 상가 골목. 러시아어로 적힌 간판들이 눈에 띱니다. 마트에선 러시아 식료품은 물론, 현지 전통 빵도 팔고 있습니다. 고려인들이 자체적으로 상권을 형성한 겁니다. 경주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은 지난해 말 기준 5천8백 명, 경북 전체 고려인의 90%가 넘습니다. 경주 외동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일자리를 찾아 정착한 고려인들로, 2016년 이후 7년 만에 2배 이상 늘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지원 대책은 턱없이 부족해 지역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한인나/고려인 출신 : "생활 모든 부분에서 병원부터 솔직히 애들 유치원이나 학교에 보내는 것, 은행에서 통장을 여는 것도 힘들구요. 말이 안 통하니까."] 그나마 경북교육청이 학생들을 위한 전담 교육센터를 열어 한국어와 예절 등을 교육하면서 적응을 돕고 있습니다. [최테이야/초등학교 5학년 : "카자흐스탄에서 왔어요. (한국어) 어렵지만 재미있어요. 친구랑 같이 수업 들어서 재미있어요."] 경주시는 지난해 전담팀을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김은락/경주시 인구청년담당관 : "고려인 주민들에 대한 돌봄, 의료, 정착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고려인 정착을 돕겠습니다."] 경상북도도 전 세계 7백만 명에 이르는 재외동포의 고국 이주가 지방소멸 극복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관련 정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