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김기사의 전기 내비게이션] 12강 - '송전'과 '송전탑'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무료 전기 기초 동영상 강의 ▶제12강 - '송전'과 '송전탑'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매주 화요일 전기신문 유튜브에서 '김기사의 전기 내비게이션'을 만나보세요. 강의 관련 질문 '김기사의 쉬운 전기' 블로그 ☞ http://blog.naver.com/somang8991 ●송전의 정의 및 이해 송전(送電, power transmission) :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변전소까지 보내는 과정 송전의 전압이 높은 이유 : 보내고자 하는 전력이 많으면 전력손실이 큼 ☞전선을 매우 굵게 하거나 전압을 매우 높게 함 공칭전압(公稱電壓, nominal voltage) : 해당송배전 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 최고전압(最高電壓. Maximum voltage) : 해당 송배전 선로에서 발생하는 최고의 선간전압 전력계통(電力系統) : 전기의 원활한 흐름과 전기의 품질을 위해 전기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 ACSR(강심알루미늄연선) –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피복이 없는 나전선으로 ●송전탑의 구조 및 명칭 애자(碍子, insulator) : 전기를 절연하면서 송전선을 송전탑에 지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기구 애자련(碍子連, insulator string) : 애자를 여러 개 이어 놓은 것 가공지선(架空地線, overhead ground wire) : 벼락으로 인한 송전선로의 피해를 막고자 설치 댐퍼(damper) : 바람으로 인한 진동으로 좌우 충돌을 막고자 납으로 된 추를 설치 한 것 오프셋(offset) : 진동 및 도약으로 인해 상하 충돌을 막고자 떨어트리는 것 선로정수(線路定數, line constant) : 전선에 저항(R), 인덕턴스(L), 커패시턴스(C), 누설컨덕턴스(G)의 특성이 있는 것 ●송전선로의 회선과 복도체 회선 - 3개의 상으로 구성된 전선로 복도체(複導體) : 1개의 상에 2개의 전선이 지나가는 것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 : 송전선 사이에는 서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줌 ●송전선로의 알아 둘 것 코로나 현상 : 일정한 한도 이상의 전압이 들어가게 되면 전선 주변에 공기절연이 일부 파괴되어 엷은 불꽃이 발생하거나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 이도(dip) : 송전선이 쳐지는 정도 연가(撚架, transposition) : 송전선로 전 구간을 3등분 한 후 전선의 각 상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송전선로 전구간에서 발생하는 인덕턴스나 커패시턴스를 같은 선로 정수를 최대한 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