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만요(漫謠) ‘세상(世上)은 요지경(妖地境)’[김정구(金貞九) 노래. 1939. 1. 오케-레코드(Okeh Record)]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만요(漫謠)‘세상(世上)은 요지경(妖地境)’[김정구(金貞九) 노래. 조명암(趙鳴岩) 작사⦁박시춘(朴是春) 작편곡. 1939.1. 오케-레코드(Okeh Record)] 【가사】 1. 요지경(妖地境) 속이다, 요지경 속이다 요지 요지 요지경 속이다 생글 생글 생글 생글 아가씨 세상 벙글 벙글 벙글 벙글 도련님 세상 얘 얘 얘들아, 내 말 좀 듣거라 얼굴이 잘나면 잘나서 살고 못난 사람은 제멋에 산다 얼싸 음마 둥개 둥개, 아무렴 그렇지, 둥개 둥개 2. 싸구려 판이다, 싸구려 판이다 이 세상은 싸구려 판이다 찰랑 찰랑 찰랑 찰랑 막걸리 술잔 지글 지글 지글 지글 매운탕 안주 얘 얘 얘들아, 내 말 좀 듣거라 곱빼기 한 잔에 웃음이 가득 삼팔(三八) 수건(手巾)에 추파(秋波)가 온다 얼싸 음마 둥개 둥개, 아무렴 그렇지, 둥개 둥개 3. 물방아 속이다, 물방아 속이다 이 세상은 물방아 속이다 둥글 둥글 둥글 둥글 뜨내기 세상 생글 생글 생글 생글 숫배기 사랑 얘 얘 얘들아, 내 말 좀 듣거라 홀애비 사정(事情)은 과부(寡婦)가 알고 처녀(處女) 사정은 총각(總角)이 안다 얼싸 음마 둥개 둥개, 아무렴 그렇지, 둥개 둥개 【주(註)】 • 만요(漫謠) = 1930년대에 나타난 희극적(喜劇的)인 풍자(諷刺) 가요(歌謠). 익살스럽고 해학적(諧謔的)이어서 재미가 있고 가벼운 가사(歌詞)가 특징(特徵)임. • 요지경(妖地境) = 요사(妖邪)한 지경(地境). ※ ‘요지경(瑤池鏡)’의 와전(訛傳)된 한자(漢字) 표기(表記)인 듯. ※ 요지경(瑤池鏡) = ① 확대경(擴大鏡)을 장치(藏置)하여 놓고 그 속의 여러 가지 재미있는 그림을 돌리면서 구경하는 장치(裝置)나 장난감 ② 알쏭달쏭하고 묘(妙)한 세상일[世上事]을 비유적(譬喩的. 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 도련님 = ① ‘도령’의 높임말 ② 결혼(結婚)하지 않은 시동생(媤同生)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 ※ 도령(道令) = 총각(總角)을 대접(待接)하여 이르는 말. 한자(漢字)를 빌려 ‘道令’으로 적기도 함. • 잘나면 = ① 얼굴이 잘생기거나 예쁘게 생겼으면 ② 능력(能力)이 남보다 앞서면. ※ 잘 나다 = 잘 태어나다. • 못난 = ① 얼굴이 못생기거나 예쁘게 생기지 아니한(않은) ② 능력이 남보다 모자라는. • 얼싸 = ① 흥겨울 때 내는 소리 ② 보기에 아니꼬워서 조롱(嘲弄)할 때 내는 소리.. • 음마 = 엄머.‘어머’의 방언(方言). ※ 어머 = 주(主)로 여자(女子)들이 예상(豫想)하지 못한 일로 깜짝 놀라거나 끔찍한 느낌이 들었을 때 내는 소리. • 둥개둥개 = ① 아기를 안거나 쳐들고 어를 때 내는 소리 ② ‘둥둥’에 가락을 넣어서 더 재미있게 하는 소리. • 싸구려판 = 질(質)이 낮은 물건(物件)이나 철 지난 물건 따위를 값싸게 파는 판. ※ 싸구려 = 장사하는 사람이 물건을 팔 때 값이 싸다는 뜻으로 외치는 소리. • 곱빼기 = ① 음식(飮食)에서, 두 그릇의 몫을 한 그릇에 담은 분량(分量) ② 계속(繼續)하여 두 번 거듭하는 일. • 삼팔(三八) = 중국(中國)에서 생산(生産)되는 올이 고운 명주(明紬). ‘삼팔주(三八紬)’의 준말. ※ 삼팔(三八) 수건(手巾) = 삼팔주(三八紬)로 만든 수건(手巾). • 추파(秋波) = ① 가을의 잔잔하고 아름다운 물결 ② 이성(異性)의 관심(關心)을 끌기 위하여 은근(慇懃)히 보내는 눈길 ③ 환심(歡心)을 사려고 아첨(阿諂)하는 태도(態度)나 기색(氣色). • 뜨내기 = ① 일정(一定)한 거처(居處)가 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 ② 어쩌다가 간혹(間或) 하는 일. • 숫배기 = 숫보기. ① 순진(純眞)하고 어수룩한 사람. 또는 숫총각이나 숫처녀 ② 숫총각이나 숫처녀. • 홀애비 = ‘홀아비’의 사투리. 아내를 잃고 혼자 지내는 사내. • 과부(寡婦) = 남편(男便)을 잃고 혼자 사는 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