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궁중 여인들의 설맞이 3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내외명부는 내명부와 외명부를 합쳐서 부르는 단어입니다. 왕비는 내명부와 외명부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내명부와 외명부를 모두 통솔하는 자리였습니다. 내명부란 궁중 여성들 가운데 품계를 받은 사람으로, 왕과 왕비를 보필하고 잡역 궁인을 다스리는 여자, 모두를 지칭합니다. 내명부는 각기 하는 역할에 따라서 내관(內官)과 궁관(宮官)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각 품계에 따라 각기 고유한 직무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내관(內官)은 왕 또는 왕세자의 후궁들을 일컫고, 궁관(宮官)은 우리가 상궁이라고 알고 있는 궁녀들입니다. 내관 중에서 왕의 후궁들은 정1품인 빈(嬪), 종1품 귀인(貴人), 정2품 소의(昭儀:정2품), 종2품 숙의(淑儀), 정3품 소용(昭容), 종3품 숙용(淑容), 정4품 소원(昭媛), 종4품 숙원(淑媛)이 있었고, 왕세자의 후궁으로 종2품 양제(良娣), 종3품 양원(良媛), 종4품 승휘(承徽), 종5품 소훈(昭訓)이 있었습니다. 궁관은 통칭으로 상궁이라고 부르지만, 상궁들은 상궁 중에서 가장 높은 품계인 정5품의 상궁(尙宮)부터 종9품인 주변궁(奏變宮)까지 나누어져 있습니다. 상궁은 궁중의 살림살이를 도맡은 핵심 계층으로서 왕비와 내관을 받들고 품계가 없이 궁중의 잡역에 종사하는 하층 궁녀들을 통솔하였습니다. 평상시의 상궁들은 상궁과 나인[內人]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하였습니다. 외명부는 내명부 이외의 궁중 여인, 즉 왕의 딸인 공주(公主)와 옹주(翁主), 세자의 딸인 군주(郡主)와 현주(縣主), 그리고 문무백관, 종친의 부인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말입니다. 왕비가 낳은 딸은 공주, 후궁이 낳은 딸은 옹주라고 부르고 세자빈이 낳은 딸은 군주, 서녀는 현주라고 구분하였습니다. 또한 왕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는 대군(大君)이라 하고, 왕과 후궁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는 군(君)이라고 불렀습니다. 자료 사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알쓸신잡 #조선시대 #궁중 #설맞이 #새해 #첫날 #새해맞이 #국조오례의 #가례 #정지조하의 #정지 #정월 #초하루 #동지 #설날 #내외명부 #내명부 #빈 #귀인 # 소의 #숙의 #소용 #숙용 #소원 #숙원 #양제 #양원 #승휘 #소훈 #외명부 #내관 #궁관 #후궁 #의빈성씨 #궁녀 #상궁 #주변궁 # #홍수 #나인 #경국대전 #제조상궁 #부제조상궁 #아래고상궁 #아리고상궁 #대령상궁 #지밀상궁 #보모상궁 #시녀상궁 #항아님 #공주 #옹주 #군주 #현주 #대군 #군 00:00 오프닝 00:22 내외명부란? 00:45 내명부란? 01:14 내명부 : 내관 02:45 내명부 : 궁관 03:15 조선시대 상궁 04:09 Q. 상궁도 품계에 따라 하는 일이 달랐군요? 05:07 상궁의 역할 : 정 5품 05:22 상궁의 역할 : 종 5품 05:36 상궁의 역할 정 6품 06:00 제조상궁(提調尙宮) 06:21 부제조상궁(副提調尙宮) 06:45 대령상궁(待令尙宮) 06:56 보모상궁(保姆尙宮) 07:11 시녀상궁(侍女尙宮) 08:31 외명부 09:10 Q. 왕자들의 호칭은 어떻게 다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