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오현주 앵커가 고른 한마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1983년 여름, 이 노래만 흘러나와도 눈물샘이 터졌던 이산가족 찾기 생방송. 138일 간 온 국민은 밤잠을 설쳤습니다. 전쟁과 분단의 상처가 우리에게 얼마나 깊이 패여 있는지 몸서리치도록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당시 신청자 중 1만 여명이 혈육을 찾았지만 5만 여명은 백발의 노인이 된 지금까지도 헤어진 가족의 생사 여부를 알지 못합니다. 올해는 북녘 땅을 바라보며 지내던 합동 차례마저 바이러스가 막으면서 이들의 추석은 더 쓸쓸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6년 전 북한 흥남에 살던 이모와 상봉했습니다. 대선 당시엔 이산가족 신청자 전원 상봉을 공약한 바 있죠. 2018년 8월,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한 차례 이뤄졌고 9.19 평양공동선언을 통해선 상봉 정례화 추진을 약속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2018년 9월 19일) "금강산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복구와 서신 왕래, 화상 상봉은 우선적으로 실현해 나갈 것입니다." 그러나 그 후, 만남의 시계는 멈췄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세 차례 마주앉았지만 이산가족의 한껏 부풀었던 희망은 더 큰 절망으로 바뀌었습니다. 그 사이 2만 3천장의 영상 편지는 북측에 전달조차 못해 쌓여만 있습니다. 화상 통화가 지구촌 구석구석을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비대면 시대에 가족에게 영상 편지 한 장 보낼 수 없는 게 남북의 현주소입니다. "어머니, 왜 대답이 없어요. 어머니! 구현이가 왔어요!!" 고향에 갈 수 없는 김구현 할아버지는 가상 현실로 만든 북녘 자신의 집을 찾았습니다. 애타게 불러도 어머니를 볼 수는 없지요. 실향민의 가상 고향 방문 여정을 담은 캠페인의 한 장면인데 실제 고향 집을 찾아도 그리운 가족을 만날 가능성은 점차 희박해지고 있습니다. 이산 가족의 남은 소망은 작지만 간절합니다. 남시우 /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이산가족도 몇 년 이내이지 몇 년 지나가면 의미가 없고 당사자가 죽으면 아무 의미가 없잖아요. 정부에 바램이 생사 확인이라도..." 앵커가 고른 한마디는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였습니다. [Ch.19] 사실을 보고 진실을 말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 http://news.tvchosun.com/ 👍🏻 공식 페이스북 / tvchosunnews 👍🏻 공식 트위터 / tvchosunnews 뉴스제보 : 이메일([email protected]),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