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53 노엄 촘스키의 언어와 정신 1/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영어잘하는비법”에 '한국말을 쓰면 한국인이고 미국말을 쓰면 미국인(https://yellowroses.tistory.com/15854561)" . 053. 노엄 촘스키의 언어와 정신 – Language and Mind by Noam Chomsky, 1968 . 2008년 대한민국 국방부는 촘스키의 책인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What Uncle Sam Really Wants, 1993)”,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The Year 501, 1992)” 등 두 권을 불온서적으로 지정하여 한국인치고 노엄 촘스키를 모르는 사람이 없게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촘스키는 “자유를 두려워하고 사상과 표현을 통제하려는 이들이 늘상 있게 마련이며 대한민국의 국방부가 그 대열에 합류한 것은 불행한 일이다. 아마도 국방부를 `자유.민주주의에 반대하는 국방부'(Ministry of Defense against Freedom and Democracy)'로 개명해야할 것 같다.” 라고 비판하며, 자신의 책들은 고르바초프 이전 소련에서도 금지된 바 있다고 밝히며 지성인 사회에 대한민국의 저급한 수준을 알렸습니다. 이 “언어와 정신 (Language and Mind)”은 이 노엄 촘스키가 1968년에 발간한 책입니다. 노암 촘스키에 대해 한국인들이 가지는 명성에 비해 이상하게도 한국인들은 이 책을 많이 읽지는 않았습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내가 나의 블로그의 “영어잘하는비법”에 '한국말을 쓰면 한국인이고 미국말을 쓰면 미국인"이라는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https://yellowroses.tistory.com/15854561) . 내가 언어학을 전공한 바도 없고 순전히 나의 상식에 기반한 이해이지만 노암 촘스키를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어려워서 벅찬게 아니라 시시각각 변해가는 그의 언어학적, 정치학적, 사회학적 생각을 따라가기가 벅찹니다. 조금만 게을러도 그의 변해가는 논리를 저만치 놓쳐버리기 일수입니다. 정신은 구조면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어떤 신체 기관보다 더 단순해야 하며, 가장 단순한 가정도 관찰 가능한 모든 현상들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언어학의 최근 연구를 급격하게 발전하는 신경과학의 세부 영역에 통합하면서 언어와 정신 그리고 뇌의 관계에 대한 촘스키의 견해를 엿볼 수 있는 책입니다. 노암 촘스키는 언뜻 보기에 두 가지 얼굴을 가진 학자처럼 느껴집니다. 하나는 정치와 전혀 무관한 인문과학의 총아인 언어학을 선두에서 이끌었던 대가로서의 얼굴이며, 다른 하나는 좌익적 사상을 선봉에 서서 끌어가는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의 얼굴입니다. . 노엄 촘스키의 생애와 업적 – Life and Achievements of Noam Chomsky . 에이브럼 노엄 촘스키(Avram Noam Chomsky, 1928년 12월 7일 ~ )는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인지 과학자, 역사가, 사회비평가, 정치운동가, 아나키스트, 저술가이자 무신론자로 과학적 방법론을 중시한 진보적 학자입니다. 현대 언어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고령의 나이임에도 현재 매사추세츠 MIT공과대학교과 애리조나 대학교의 언어학과 명예교수입니다.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을 만들어낸 학자로 유명하여 20세기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언어학자로 존경받고 있습니다. 그는 철학 분야에서 1950년대에 주류였던 B. F. 스키너의 언어행동을 연구 행동주의자들을 비판하여 인식의 혁명을 불러일으킨 인지과학의 선구자이기도 합니다. 그의 자연주의적인 언어학의 접근은 정신과 언어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또한 촘스키는 1956년에 형식언어를 생성하는 형식 문법의 부류들 사이의 위계인 촘스키 위계를 만들었습니다. 그는 예술 및 인문학 인용 색인(A&HCI)에 의하면 1980년부터 1992년 사이에 촘스키는 생존해 있는 학자들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학자이고, 역대 인물 중 여덟 번째로 자주 인용되는 학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부터 촘스키는 미디어 비평과 정치적 행동으로 인해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그의 정치적 행동과 비평은 특히 미국과 다른 정부간의 외교정책과 인권옹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 촘스키는 1928년 12월 7일 우크라이나 출신의 히브리어 언어학자인 윌리엄 촘스키(1896년 ~1977년)의 아들로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부근의 이스트 오크 레인에서 태어났습니다. 중세 히브리어 문법 전문가였던 윌리엄 촘스키는 여러권의 책을 저술하기도 했습니다. 1977년 아버지 윌리엄 촘스키가 사망하자 뉴욕 타임스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히브리 문법학자 중 한 명"이었다고 평가하며 그의 죽음을 알렸습니다. 아버지는 촘스키가 언어학자가 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라츠 대학(Gratz College)의 교수였던 어머니 엘지 시모노프스키(Elsie Simonofsky)는 벨라루스 출신으로 1906년에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통상적인 뉴욕 영어를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처음 접한 언어는 이디시어였지만, 촘스키의 가족들 사이에서는 이디시어가 금기 시 되었습니다. 당시 가족들이 살았던 지역은 유대인 집단거주 지역으로 이곳은 이디시 측과 히브리 쪽으로 나뉘어 있었고, 그들은 헤브루 쪽에 있어 히브리어 문화와 문학에 노출되어 길러졌습니다. 촘스키는 1930년대 아일랜드계 천주교인과 독일계 천주교인들의 반유대주의와 갈등을 경험하며 성장했습니다. . 필라델피아 중앙고등학교(Central High School)를 졸업하고 1945년부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철학과 언어학을 공부하였습니다. 이때 철학자인 C.웨스트 처치맨하고 넬슨 굿맨과 언어학자인 젤리그 해리스가 그의 스승이었습니다. 특히 해리스는 그에게 언어 구조의 수학적 분석을 통한 변형의 발견을 알려주었으며 이후 촘스키는 이를 문맥에서 분리된 문법의 형성에 대한 해석으로 발전시켰습니다. 해리스는 또한 그의 정치적 견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1951년 촘스키는 박사 논문 “현대 히브리어의 형태소론(The Morphophonemics of Modern Hebrew)”에서 칼납의 1938년 변형규칙vs. 형태규칙 개념의 변형 형태로서 해리스와는 다른 문법적 변이 개념의 재해석된 개념으로서의 형태소 규칙을 언급하였습니다. . 1949년 언어학자인 캐롤 샤츠와 결혼하였으며 딸 둘 아들 하나를 낳았습니다. 1955년에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주니어 펠로우 장학생으로 하버드 대학에서 4년간의 박사학위 과정 일부를 수행하였습니다.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준비한 언어학에 대한 새로운 생각들을 정리하여 저서 “변형생성문법 이론 (Syntactic Structures, 1957)”을 펴냈습니다. 1955년에 MIT에 합류했으며 1961년에 언어학과 현대 언어과의 전임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통어이론의 제상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1965)”, “영어의 음성체계(Sound Pattern of English, SPE, 1968, 모리스 할레와 공저)”등의 저작활동을 통해 생성문법 이론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50여년간 MIT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그동안 비중있는 80여권의 저서와 100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 1967년 2월 “지성인의 의무 (The Responsibility of Intellectuals)”라는 에세이를 발표하여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알렸습니다. 2008년 대한민국 국방부는 촘스키의 책인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507년 정복은 계속된다” 등 두 권을 불온서적으로 지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촘스키는 “자유를 두려워하고 사상과 표현을 통제하려는 이들이 늘상 있게 마련이며 대한민국의 국방부가 그 대열에 합류한 것은 불행한 일이다. 아마도 국방부를 `자유.민주주의에 반대하는 국방부'(Ministry of Defense against Freedom and Democracy)'로 개명해야할 것 같다.” 라고 비판하며, 자신의 책들은 고르바초프 이전 소련에서도 금지된 바 있다고 밝혔습니다. 촘스키는 그의 미국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 때문에 죽음의 위협을 받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그는 유나버머(Unabomber)로 더 잘 알려진, 테오도르 카진스키(Theodore Kaczynski)에 의해 작성된 계획된 타겟 리스트에도 올랐었습니다; 카진스키가 잡히지 않은 기간 동안, 촘스키는 그의 우편물 모두에 폭발물 검사를 했습니다. 그는 그가 종종 경찰보호를 받았다고 말하는데, 특히 MIT 캠퍼스에 있을 때였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경찰보호에 동의하진 않았습니다. . 촘스키 언어학은 “변형생성문법 이론(Syntactic Structures)”에서 시작하여, 1955년 정리한 “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Logical Structure of Linguistic Theory)”에서 절정을 이루었습니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도전을 했으며, 변형생성문법(TGG: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의 이론을 소개하였습니다. 1960년대부터 촘스키는 통사적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고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으며, 이는 아이들이 모국어의 특정 언어만을 배우면 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그는 인간의 언어 습득에 관한 관찰에 근거해, '자극의 빈곤'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즉, 아이들이 경험하는 언어적 자극과 그들이 획득하는 풍부한 언어 능력의 큰 차이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그들의 모국어 내에서 허용되는 통사적 변이체의 매우 작고 유한한 부분집합에 노출되어 있지만, 그들은 그 언어에서 한 번도 발음된 적이 없는 문장들을 포함하여 무한히 많은 문장들을 이해하고 생산하는 고도로 체계적이고 체계적인 능력을 어느 정도 습득합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촘스키는 일차 언어 데이터가 타고난 언어 능력으로 보충되어야 한다고 추론했습니다. . +++ https://www.youtube.com/@YellowRoses/... https://yellowroses.tistory.com/ 忍齋 黃薔 李相遠님 - 노란장미의 사는 이야기 그리고 8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