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SNUE-P23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털별꽃아재비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꽃이 별을 닮았다. 화단 구석이나 들판이나 길가에서 흔하게 자란다. 높이 10-50cm 이다. 가지와 마디에 흰색털이 빽빽하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이고 길이5-7cm.폭 3-5 cm이다. 잎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난다. 꽃은 6-10월에 피는데 머리 모양 꽃차례로 달린다. 모인꽃싸개(총포)는 반원형, 조각은 5개이며 바늘 모양이다. 혀 모양 꽃(설상화)은 5개로 끝이 3갈래로 갈라지며 흰색이다. 관 모양 꽃(관상화)은 끝이 5 갈래로 갈라지며, 노란색 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7-10월에 익는다 남아메리카원산의 귀화식물로 국화과 별꽃아재비속 한해살이풀이다.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용으로 들여와 재배되었지만 지금은 전국에 퍼져 흔하게 볼수있는 식물이 되었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고 전체적으로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마주나는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굵은 거치가 있다. 6~10월경 줄기와 가지 끝에 지름 약 5mm 정도의 두상화가 달리는데... 주변부 설상화는 흰색으로 5개가 피고 중심부 관상화는노란색이다. 털별꽃아재비는 별꽃아재비에 비해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더욱 밀생하고, 설상화와 여윈열매에 깃털이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 한글명 털별꽃아재비는 그러한 형태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종소명 실리아타(ciliata)의 의미다. 일명 ‘털쓰레기꽃’이라고 부르지만, 정당하게 기재한 식물분류학적 명명규칙의 선취권을 따른다면 털별꽃아재비가 유일하게 인정될 수 있는 한글명이다. 일본명은 하끼다메기꾸(掃溜菊)로, ‘버려야 할 쓰레기를 모아둔 곳에 피는 국화과식물’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속명 갈링소가(Galinsoga)는 18세기 스페인 마드리드 식물원의 식물학자(Mariano M. Galinsoga) 이름에서 유래한다.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특히 유럽에서는 1800년대에 귀화한 별꽃아재비가 흔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털별꽃아재비가 아주 흔하다. 작열하는 여름날씨와 일시적 건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한반도에서처럼 대륙성의 온대지역인 곳에서는 털로 뒤덮인 털별꽃아재비에게 더욱 유리하기 때문이다. 아직 평양지역에 분포한다는 소식은 없다. 지구온난화는 한반도 북쪽으로 분포 확산을 더욱 촉진하게 될 것이고, 북한 어딘가 이미 침투해 퍼져 있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털별꽃아재비는 한해살이지만, 생육기간 동안에는 생식활동을 계속하는 ‘반복생식 여름형 1년초(iteroparous summer annual)’로 분류된다. 발아에서 종자생산과 산포에 이르기까지 약 4주간이면 충분하다. 원래 중남미의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기 때문에 그러한 원산지의 환경조건에다가 수분환경이 보장된다면 왕성하게 생육한다. 도시화된 지역에서 촉촉한 환경이면서 쓰레기더미가 있는 지저분한 곳이라면 털별꽃아재비가 살만한 최적의 서식처다. 식물사회학적으로 쓰레기터 잡초식물군락을 대표하는 명아주군강(Chenopdietea)이라는 식물사회의 표징종이다. 털별꽃아재비와 별꽃아재비는 전 세계 밭 경작지에서 공통적으로 나는 잡초이며, 특히 뜨거운 아프리카의 우간다나 앙골라 지역의 밀밭이나 목화 밭에서 나는 대표적인 잡초종(weedy species)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털별꽃아재비 [Shaggy soldier, Hairy galinsoga, ハキダメギク]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페이스북 : 털별꽃아재비 [SNUE-P233] #남미 출신 #귀화식물 #털별꽃아재비 #털쓰레기꽃 #국화과 #두상꽃차례 #잡초 취급 #생태감수성 #서울교대 #생물관찰 #별꽃아재비 #Kew garden #생물다양성 #bio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