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12월 8일 공개강의 - 사주팔자 원국, 대운, 세운의 시공간이 반응하는 원리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12월 8일 공개강의 - 사주팔자 원국, 대운, 세운의 시공간이 반응하는 원리 5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2월 8일 공개강의 - 사주팔자 원국, 대운, 세운의 시공간이 반응하는 원리

"외우는 명리학은 가라!" 명리학과 사주팔자에 시간과 공간 개념을 불어넣기 http://cafe.daum.net/sajuforbetterlife 天干과 地支가 만나는 방식의 이해 天干과 地支는 각각의 중대한 의미를 가졌으며 상호조합을 이루면 새로운 의미를 도출해낸다. 따라서 天干과 地支가 만났을 때 관계를 형성하고 명리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만들어내는데 예로, 천간과 삼합운동, 방합 운동, 12地支에서 발생하는 공간 환경 변화를 다룬 12신살, 천간에너지가 12지지를 지날 때마다 변화하는 에너지특징을 설명하는 12운성, 그리고 12지지 공간이 만나서 서로 다른 환경 때문에 발생하는 三刑論 등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이다. 세부내용은 원국과 대세운의 차이점, 천간과 지지가 만났을 때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장생, 태지, 왕지의 상황을 살펴본다. 또, 寅巳申亥, 子卯午酉, 辰戌丑未 生旺墓의 의미와 丑戌未, 寅巳申, 子卯午酉 형파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四季圖 구조의 이해 四季圖는 지구에서 이루어지는 시공간의 순환과정을 십간과 12지지로 표현한 것이다. 각 계절에 배속된 에너지들과 공간들을 쉽게 이해하고 각 계절에 이루어지는 에너지 조합의 특징을 이해하면 흔들리지 않는 사주팔자 통변 기술을 습득한다. 각 계절의 三字조합을 보면 봄에는 乙癸戊로 활력을 상징하고, 여름에는 戊丙庚로 물질추구, 가을에는 丁己辛로 물질을 수확하여 활용하며, 겨울에는 壬甲己로 새로운 미래를 설계한다. 또 삼자조합을 세분하여 2者조합의 의미도 함께 살펴본다. 예로, 乙癸戊 조합의 경우는 乙癸, 乙戊, 癸戊 천간조합의 의미를 함께 학습한다. 傷官의 이해 천간 十干의 극히 일부작용을 활용하는 것이 十神이다. 다만, 십간과 십신의 작용력은 전혀 다르다. 十干은 우주, 지구자연에 존재하는 에너지들로 끊임없이 움직이며 변화를 이끌어내는 주체다. 十神은 十干 에너지들의 작용력 중에서 生剋부분을 따로 떼어내서 그 작용력을 활용하는 것으로 활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이런 이유로 비록 十神을 六親에 활용하지만 적중률이 낮은 이유는 생극 작용은 시간의 순차적인 흐름을 읽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로 아들은 十神으로 偏官으로 간주하지만 이것은 단지 생극 작용의 단식판단에 불과하다. 時空間 개념으로 자식을 판단하면 사주팔자에서 時柱일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명백하게도 일주인 나와 내 배우자가 만나야만 비로소 내 자식을 만들어낼 수 있는 時間을 만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십신과 궁위의 시공간에 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예로 편관이 年間에 있으면 마치 할아버지 宮位에 자식이 있다는 설명을 해야만 하니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자식이 생겨났다는 터무니없는 논리에 처한다. 따라서 십신의 작용력을 명확하게 이해한 후에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십신이 통변의 꽃이라는 어처구니없는 논리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다만, 십신도 나름의 독특한 작용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독특하다고 할 만한 것이 傷官으로 그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학습하는 과정이다. 특히 여성의 사주팔자에서 傷官과 印星의 작용력은 묘하기에 상세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時空間 作用方式의 이해(기초) 현재의 명리이론 체계는 중국, 한국, 일본 할 것 없이 생극에 기초한 논리들이다. 하지만 삶의 본질을 살펴보면 모든 작용은 시간과 공간이 결정하는 것이 명확하다. 동일해 보이는 時空間도 평생에 걸쳐 단 한 번도 동일한 적이 없다. 동일한 봄임에도 동일한 것이 아니다. 그 이유는 육체에 축적된 중력에너지 때문이지만 시간 또한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흘러가기에 절대로 동일할 수 없다. 따라서 사주팔자의 길흉을 읽으려면 두 가지에 존재하는 시공간 흐름을 읽어내야만 하는데 첫째는 사주팔자 원국에서 결정된 시공간 흐름이요 둘째는 대운과 세운에서 들어오는 시공간 흐름이다. 대운은 비록 10년을 기준으로 하지만 오로지 개인의 사주팔자를 기준으로 한 것에 불과하기에 극히 私的이다. 그 이유는 大運의 근거는 月柱를 기준으로 順行하거나 逆行하기에 우주, 지구자연에 공통적으로 주어지는 公的인 시간이 아니다. 年運은 비록 1년 단위의 시공간이지만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주어지는 공적인 시간표다. 또 비록 공통적인 에너지 작용일지라도 각 사주팔자에서 반응하는 작용은 전혀 다르다. 그 이유는 年運 에서 주어지는 시공간과 개인의 사주팔자 사이에 시공간이 천차만별로 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주팔자의 길흉을 읽어내는 것의 근본 의미는 사주팔자 원국과 대세운에서 주어지는 시공간 사이에 어떤 시공간 차이가 발생 했는지 그리고 각 에너지들끼리 형충파해합 작용으로 휘어지고 꺾이는 방식을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 강의에서는 時空間 작용방식의 기초이론을 학습한다. 天干 合의 이해 1 – 시간순환, 자연순환 개념의 天干 合. 天干 合은 지구가 회전하는 과정에 시간이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발생하는 에너지 변화과정이다. 예로 丙辛합의 경우, 甲乙丙으로 발산에너지와 분산에너지가 극에 이르다가 辛金에 이르면 丙火의 분산에너지는 자신의 활동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고 신금이 지배하는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또 반대로 辛壬癸의 시간을 지나는 과정에는 빛을 분산하는 작용을 하지 못하다가 甲乙丙에 이르면 辛金의 어둠에서 벗어나 다시 병화의 고유한 빛 분산 작용을 시작하면서 지구에 밝음이 찾아온다. 따라서 丙辛 合은 지구가 회전하는 과정에 낮에는 빛이 비추고 밤에는 어둠 속에 잠기는 시공간 흐름을 合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즉, 丙辛 合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순환과정을 관찰한 인간이 만들어낸 사유의 산물이다. 다만, 주의할 것은 丙辛 合은 무조건 水氣라는 생극, 강약, 왕쇠관점에서 살피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천간합의 개념을 이해하는 가장 바른 방법은 지구자연의 순환과정으로 살피는 것이다. 天干 合의 이해 2 – 十神개념의 천간 합. 天干 合을 이해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그 중에서 十神개념으로 天干 合의 의미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十神의 개괄적인 의미를 살펴보고 천간 합에 적용하여 合의 의미를 추론하고 통변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天干 합은 명리 학은 물론이고 사주팔자를 이해하는데 극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사주팔자의 극적인 변화는 모두 천간 合과 沖, 그리고 12地支의 형충파해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예로 甲이 있는데 己土를 만나거나, 己土가 있는데 甲을 만나면 현재 진행하는 일들을 중단하고 새로운 전환을 시도하는데 이 모든 것은 시간을 정반대로 돌려놓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이런 시공간 변화작용은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명리 근간을 이해하려면 시공간의 정체를 규정하고 시공간 변화과정이 天干 合운동과 12地支 三合운동으로 이루어짐을 체득하는 것이다. 天干 合의 이해 3 – 時空間, 六親개념의 天干 合. 천간 합을 이해하는 세 번째 방법은 시공간과 육친개념으로 천간 합의 개념을 살피는 것이다. 천간에서 이루어지는 합은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12지지 공간과 조우한다. 예로 乙庚 합의 경우 만나는 공간은 전혀 다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 乙庚 合할 경우에 그 의미가 다르다. 예로 경금은 열매와 같은데 진월에 을경 합하면 열매로서의 가치가 전혀 없다. 열매는 사월에 꽃피고 오월에 열매 맺기 때문이다. 따라서 乙庚 합이 아무리 물질을 상징한다고 해도 진월에 이루어지기에 열매가치를 논하기 어렵다. 天干합의 육친개념은 합작용으로 해당 육친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육친에게 미치는 천간 합작용은 기본적으로 좋다고 보기 어렵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의 에너지 속성이 서로 묶여서 자신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時節을 만나다” 개념 이해하기 기존의 명리체계에는 “시절을 만나다” 개념이 없지만 인간의 삶에서는 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정신적인 부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예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사회에서 적절한 직업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허전하고 내가 왜 여기에 있는가에 대해 자꾸 질문하는 이유는 자신에게 주어진 시공간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時空論은 년주와 월주 조합을 통하여 조상과 부모의 상황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년월 구조가 좋으면 일간과 상관없이 부유한 가정에 탄생한다. 하지만 日干이 년, 월의 조합과 적절하지 않은 관계를 형성하면 정체성에 혼동이 생긴다. 예로 丁火일간이 子月을 만나면 자신이 가진 수렴에너지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子月에는 발산에너지 癸水가 폭발력으로 봄을 향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화의 수렴작용은 할 일이 없어지면서 부모가 아무리 부자여도 그 공간에서는 자신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에 사로잡혀서 스스로 정체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계도를 이해하면 “시절”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