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서울 중랑구 한용운 묘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한용운(韓龍雲, 1879∼1944)은 충남 결성에서 태어나 1905년 인제의 백담사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1913년 조선불교 개혁을 주장하는 '조선불교유신론'을 간행하였다. 1918년 불교잡지 '유심'을 창간하여 불교의 개혁과 혁신을 주장하였다. 1919년 2월 24일부터 27일 사이 승려 백용성과 함께 3·1운동에 참여하기로 하고, 27일 최린의 집에서 민족대표로 서명하였다. 3월 1일 ‘무사히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게 되어 크게 기쁘며 더욱 더 독립운동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는 취지의 연설을 하고 출동한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는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1920년 10월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 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겪었다. 출옥 후 계속하여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노력하면서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발간하여 일제에 대항하는 저항문학 활동을 하였고, 1927년 신간회 중앙집행위원과 경성지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1931년 조선불교청년회를 조선불교청년동맹으로 전환해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월간지『불교』를 인수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항일독립사상을 고취하는데 전념했다. 1937년 불교계 항일운동인 만당사건의 배후자로 검거되어 고초를 겪었고, 이후에도 불교 혁신운동과 작품 활동을 계속하다가 1944년 해방을 보지 못하고 서울 성북동 자택에서 입적하였다. 망우역사문화공원 1933년 망우리공동묘지로 조성되어 1973년까지 4만 7700여 기의 묘를 수용하였다. 일제강점기, 해방공간과 한국전쟁 그리고 산업화 시기까지 수많은 영혼들의 안식처 역할을 했다. 2022년 역사문화공원으로 재정비하여 새로운 공간으로 자리해 가고 있다. 제공 : 항일영상역사재단(제작 202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