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뉴스데스크] 자치단체가 '인터넷 신문사' 손바닥 안?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언론사 #갑질 #지방자치단체 현재 논란되고 있는 기자가 기사를 쓰고 있는 매체는 '인터넷 신문사'입니다. 홈페이지 하나만을 가지고 언론사를 자처하고 있는데도, 자치단체들은 그간 눈치 보며 광고비를 집행했는데 말 그대로 휘둘려왔습니다. 조수영 기자가 이유를 들여다봤습니다. 현재 전라북도에 등록하고 영업 중인 신문사는 200곳에 가깝습니다. 대부분 인터넷에 기반을 둔 신문사들입니다. 최근 2년 사이 도내에 새로 등록된 곳들도 절대 다수가 인터넷 신문사들입니다. 미디어 소비 패턴이 바뀐 배경도 있겠지만, 매체 특성상 등록자체도 까다롭지 않습니다. 전라북도 관계자 "등록이라는 말 자체가 간단합니다. 일간지는 법인이어야 가능하고요. '인터넷 신문'들은 개인까지 가능하도록 열어놨어요. 발행소의 등기부등본 등 떼어 오시면 됩니다.(개인 집이어도 상관이 없겠네요?) 예." 하지만 인터넷 신문의 영향력은 손쉬운 설립과 영세한 규모론 설명되지 않습니다. 해당 기자들이 기사 유통망으로 적극 활용하는 카카오톡 등 소셜 네트워크를 만나면 이야기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도내 인터넷 신문 기자 "핫이슈가 되는 것들이 있어요. 지역 정치인들이라든가, 코로나라든가.. (홈페이지에)기사를 올려놓으면 잘 안 보니까.. SNS통해 전달하면 받아서 또 다른 사람들한테 전달하면서 (전파가) 상당히 빨라지는 것 같아요." 실제로 문제가 된 임실 김 모 씨의 경우도 자신이 쓴 기사를 공무원 등 주변인에게 카카오톡을 통해 끊임없이 전파해 왔습니다. 링크만 누르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기사형식의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탓에 매체의 권위나 신뢰도와는 상관없이 주목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한 다리 건너면 다 아는 좁은 지역 사회일수록 기사의 파급효과가 배가 되는 셈입니다. 문제는 바로 이 점을 기자들이 악용해 기사를 무기로, 광고비 등 돈이 나오는 공공기관을 압박하고 있다는 겁니다. 도내 공공기관 홍보담당자 "ㅇㅇ(A지역) 같은 경우는 지금 말을 안 듣는데 방 하나 얻어놓고 뒷조사 하면 뭐가 안 나오겠냐 그런 이야기를 막.." / 재선을 노리는 단체장이 소속된 자치단체일수록 기사 한 줄에 예민할 수밖에 없어 결국 여론을 의식한 나머지 기자의 광고비 요구에 백기를 들어온 게 현실. 손주화 /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 "언론사에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비용으로 인식되면서 어찌보면 비판 기사를 무기로 홍보비를 얻어내려는 현재 언론사의 문제 있는 태도를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거든요. 언론 예산 운용에 대한 지침과 기준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에 공개하는 결과가 자리 잡을 때.."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나선 임실군공무원 노조는 일단 경찰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이른바 '적폐언론'과의 전면전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