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뜨거워지는 바다…양식업 ‘적신호’ / KBS 2022.10.07.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기후위기로 해양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는데요. 더구나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 상승 폭은 전 세계 바다 평균보다 훨씬 큽니다. 이 추세대로라면, 독성 해파리는 더 자주, 패류독소는 더 일찍 생기는데, 미래 양식업에 나쁜 영향을 미치진 않을지 걱정입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기장 앞바다 미역 양식장으로 어선이 출발합니다. 다음 달 미역 심기를 앞두고 양식장 상태를 확인하는 겁니다. 수확철이 다가왔지만, 양식 어민의 마음은 무겁습니다. 수확 시기가 늦어지고, 생산성이 떨어져 미역 양식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바다 수온이 높아진 탓입니다. [이방훈/부산시 기장군 : "동해 쪽 끝자락의 기장 미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생산이 자꾸 늦어져서 채산성이 없어진다는 거고, 경쟁력이 약해진다는…."] 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54년간의 바다 기후와 수산 자원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실크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1.35도 올랐는데, 같은 기간, 전 세계 해역의 평균 수온은 0.52도 상승해 국내 앞바다가 2.5배 더 뜨거워졌습니다. 수온 상승으로 바닷속 염분과 영양염 농도는 낮아졌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식물 플랑크톤은 늘었습니다. 먹이사슬 생태계가 바뀌어 생육 환경도 나빠졌습니다. 3~4월 봄철에 나오던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 시기가 1~2월로 앞당겨졌고, 독성 해파리 출몰은 잦아졌습니다. 양식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한인성/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관 : "우리나라가 굉장히 해양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양식 적지를 찾거나 고수온에 적합한 품종을 개발하는 부분이 선행돼야 할 것 같습니다."] 2050년, 우리나라 연근해 수온은 지금보다 1~2도 더, 2100년에는 2~4도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미칠 영향에 앞서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명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