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한국회화사 - 삼국시대 회화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1. 고구려의 회화 중국 회화 및 중국을 통하여 들어온 서역 회화의 영향을 수용하면서도 힘차고 율동적인 고구려 특유의 회화를 발전시켰다. 초기 벽화 (안악3호분, 덕흥리고분 - 4,5세기) 묘주의 초상이 위주가 되고 불교적인 요소와 풍속화적인 요소 가미. 중기 벽화 (무용총 - 5,6세기) 고구려의 동적이고 힘이 넘치는 회화의 특징이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남. 벽면에는 주인공의 생활상이나 주인공이 겪은 중요한 일들을 서사적으로 표현, 반면에, 천장 부분에는 일월성신(日月星辰) 등 주인공의 영혼이 향할 천상의 세계를 묘사. 후기 벽화 (사신총, 진파리1호분 - 6세기 말~7세기 전반) 고구려적인 회화의 동적인 특색이 더욱 더 현저해진다. 기록적인 성격의 인물화나 풍속화가 자취를 감추고, 대신 도교의 영향을 받아 사신(四神)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 진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회화(繪畵)) 1.1 안악3호분 고분벽화 안악3호분 묘주의 초상화 안악3호분 묘주 부인의 초상화 public domain, Unknown author, https://ko.wikipedia.org/wiki/안악_3호분#... 1.2 덕흥리 고분벽화 CC BY-SA 4.0, Autho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ShareAlike 3.0, http://mesosyn.com/Koguryo-80-02.jpg 1.3 약수리 고분벽화 CC BY-SA 4.0, Author Eternal and life, https://ko.wikipedia.org/wiki/고구려_고분군... 1.4 쌍영총 고분벽화 쌍영총 전실모사도 쌍영총 남벽 주작모사도 쌍영총 모사도 쌍영총 전실모사도 쌍영총 모사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쌍영총 거마행렬도 쌍영총 기마 인물 쌍영총 주인공 부부도 쌍영총 공양도 쌍영총 공양도2 public domain, 朝鮮總督府 - 朝鮮古蹟図譜 2卷 https://ko.wikipedia.org/wiki/쌍영총#/media 쌍영총 전실견취도 쌍영총 현실견취도 쌍영총 현실 북벽 묘주인도 쌍영총 연도 동벽 부인도 쌍영총 후실 동벽 인물 쌍영총 연도 서벽 기마인물 쌍영총 연도 동벽 우거도 쌍영총 후실 남벽 주작도 쌍영총 후실 동벽 인물, 후실 북벽 병화양 쌍영총 천정 연화도와 무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1.5 무용총 고분벽화 무용총 수렵도 public domain, Unknown author, http://chosun.com 무용총 주실 동벽 벽화 무용총 주실 동벽 기마인물 무용총 주실 서벽 벽화 무용총 주실 서벽 기마인물 무용총 주실 북벽 벽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1.6 수산리 고분벽화 CC BY-SA 4.0, Autho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ShareAlike 3.0, http://mesosyn.com/Koguryo-114a.jpg 1.7 강서대묘 벽화 강서 우현리 대묘 동벽 청룡 모사도 강서 삼묘리 대묘 서벽 백호 모사도 강서 삼묘리 대실 남벽 주작 모사도 강서 삼묘리 대실 북벽 현무 모사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강서대묘 사신도 중 청룡 강서대묘 사신도 중 백호 강서대묘 사신도 중 주작 강서대묘 사신도 중 현무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2권 public domain, 朝鮮總督府 - 朝鮮古蹟図譜 2卷 https://ko.wikipedia.org/wiki/강서대묘#/m... 강서대묘 현실 견취도 강서대묘 현실 동벽 청룡벽화 모사도 강서대묘 현실 북벽 현무벽화 모사도 강서대묘 현실 비천상벽화 모사도 강서대묘 현실 삼족오벽화 모사도 강서대묘 현실 동물벽화 모사도 강서대묘 현실 동벽 청룡 강서대묘 현실 서벽 백호 강서대묘 현실 북벽 현무 강서대묘 현실 천정 중앙 황룡도 강서대묘 현실 제2층 굄석 측면 천인 강서대묘 현실 북벽 상부 강서대묘 현실 천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1.8 매산리 사신총 고분벽화 매산리 사신총 고분벽화 모사도 사신총 현실 기마수렵벽화모사도 사신총 현실 견마인물벽화모사도 사신총 현실 기마인물벽화모사도 사신총 현실 동벽 청룡도 사신총 현실 서벽 수렵도 사신총 현실 견마인물도 사신총 현실 동벽 기마인물도 사신총 현실 북벽 벽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 중국 길림 사신총 고분벽화 중국 길림 사신총 현실 북벽 현무 중국 길림 사신총 현실 동북부 천인 중국 길림 사신총 현실 서남부 천인 중국 길림 사신총 현실 천장 벽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 백제의 회화 고구려와 중국 남조(특히 양나라)의 영향을 받았으나 부드럽고 세련된 모습의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 공주 송산리6호분(宋山里六號墳)과 부여 능산리고분벽화(陵山里古墳壁畫)에 그려진 사신도·비운문·연꽃무늬, 부여의 규암면에서 출토된 산수문전(山水文塼) 그리고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족좌(足座)와 두침(頭枕)에 그려진 어룡(魚龍)이나 연꽃무늬, 동탁은잔(銅托銀盞)에 새겨진 산악도 등의 자료 등을 통하여 백제 회화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산수문전(7세기)은 지금까지 알려진 삼국시대의 회화적인 작품들 중에서 가장 발달된 산수문을 보여 준다.좌우가 대칭을 이룬 안정된 구도, 근경으로부터 후경으로 후퇴하며 전개되는 공간과 거리 및 오행감, 나무가 우거진 산다운 분위기 등은 그 이전의 우리 나라 미술 작품에서 찾아볼 수 없던 새로운 회화 세계를 나타낸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회화(繪畵)) 2.1 공주 송산리6호분 벽화 현실 북벽과 천장 동벽 청룡 서벽 백호 남벽 주작 벽감 문양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2.2 부여 능산리 고분벽화 부여 능산리고분 비운연화도 (모사)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부여 능산리 2호분 현실 동벽, 서벽 부여 능산리 2호분 현실 천정 연화운문 부여 능산리 2호분 현실 입구 및 천장 벽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2.3 산수문전(山水文塼) 부여 규암면 외리의 건물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문양전. 백제시대의 산수화법을 알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원근법이 잘 표현되어 있다 산수문전(山水文塼)과 산수귀문전(山水鬼文塼) CC BY-SA 2.0, Author by pressapochista, https://www.flickr.com/photos/pressap... 산수무늬 벽돌 조각(山水文塼片) 산수봉황무늬 벽돌 조각(山水鳳凰文塼片) 산수짐승무늬 벽돌 조각(山水鬼形文塼片)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부여 외리 출토 산수문전(山水文塼) 부여 외리 출토 산수봉황문전(山水鳳凰文塼) 부여 외리 산수문전편 연화문수막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2.4 무령왕 베개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3. 신라의 회화 신라회화로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은 천마총의 '천마도', '기마인물도', '서조도'와 영주 순흥의 고분벽화 등이다. 이 그림들은 고구려 회화의 영향을 반영하고는 있지만 그 수준은 고구려의 고분 벽화에 미치지 못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회화(繪畵) 3.1 천마총 천마도장니(天馬圖障泥, 국보 제207호) 말의 안장 양쪽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에 그려진 말그림. public domain, Unknown author, https://ko.wikipedia.org/wiki/경주_천마총_... 신라 천마도, 한국미술 5천년 특별우표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2 서조도 채화판(瑞鳥圖彩畵板)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서조무늬수막새 (瑞鳥文圓瓦當, 통일신라) 서조무늬암막새 (瑞鳥文平瓦當, 통일신라)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3.3 영주 순흥 읍내리 고분벽화 복원한 벽화 1~4 외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동벽에는 새의 머리 그림이, 남벽에는 사람과 글씨가, 북벽에는 3개의 산과 연꽃, 구름무늬가, 서벽에는 나무와 집이 있고 수문장으로 추정되는 역사(力士)가 그려져 있다. 널길의 동·서쪽 벽면에도 그림이 있는데, 서벽엔 뱀을 손에 잡아 감고 있는 사나이의 모습이, 동벽에는 눈을 부릅 뜬 힘 센 사람의 그림이 있다. 이것은 무덤의 시신을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그려진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