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먹고 살기 바쁜’ 저소득층, ‘여행가는’ 고소득층 / KBS뉴스(News)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지난해 우리 가계가 어디에 돈을 많이 썼는지 봤더니, 소득 수준별로 차이가 있었는데요. 저소득층은 먹고 사는데 들어가는 비용처럼 꼭 써야만 하는데 돈을 많이 썼는데, 고소득층은 외식비와 여행 등 여가비에 많이 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가 안 좋았던 영향으로 전체적인 소비는 줄었습니다. 김수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다달이 목돈이 나가는 월세, 마음대로 줄일 수도 없어 저소득층 가구에는 가장 큰 부담입니다. [저소득층 가구/음성변조 : "두 식구니까 생활에는 그렇게 많이는 안 들어가고. 제일 큰돈 들어가는 건 집세에요."] 지난해 월세가 크게 오르면서 저소득층은 주거비에 돈을 가장 많이 썼습니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한 달 평균 지출 115만 원 가운데, 주거비가 전체 지출의 20%를 넘었습니다. 다음으로 많은 식료품 구입비를 합하면 먹고 사는 데 쓴 비용이 지출의 40%가 넘습니다. 반면, 소득 상위 20% 가구는 주로 자동차 구입 등 교통비와 외식비, 숙박비 등 여가 활동에 지출이 컸습니다. 수치로만 보면, 소득 하위 20%의 지출이 늘어 상위 20% 가구와의 소비 격차는 1년 전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하지만 필수 지출 항목의 가격이 올라 저소득층은 허리띠를 더 졸라야 합니다. 가계 전체로 보면, 한 달 평균 지출은 254만 원 정도로 1년 전보다 0.8% 감소했습니다. 고용 사정 악화 등으로 당장 쓸 수 있는 소득이 줄어든 영향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상영/통계청 복지통계과장 : "가구소득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근로소득이기 때문에 근로소득이 고용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습니다."] 소득 100만 원 미만 가구의 경우, 교육비로 단 2만 5천 원을 써, 700만 원 이상 가구와의 격차는 17배가 넘었습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