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전기화재 위험성] 접촉불량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업로드에 큰 힘이 됩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제공하는 전기화재 위험성 재연 중 접촉불량 현상에 따른 화재에 대한 전기안전관련 동영상입니다. 접촉불량은 전선의 접속부의 접속상태가 불량하여 전류가 흐를 떄 접속부에서 발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동영상 정보] 1. 제공기관: 한국전기안전공사 2. 주요내용: 전기화재 위험성(접촉불량) 3. 등록일자: 2022-07-21 4. 비용부과: 무료 5. 이용범위: 이용허락범위 제한 없음 6. 영상길이: 2분 45초 7. 원본영상: https://www.data.go.kr/data/15102531/fileD... 8. 추가정보: https://www.kesco.or.kr/bbs/pr/selectBbs.d... ------------------------------------------------------------------------------------------------ 접촉불량이란? 전선의 접속부의 접속부의 접속상태가 불량하여 전류가 흐를 떄 접속부에서 발열되는 현상으로 발열상태가 지속되면 접속부주변에 아산화동이 발생합니다.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증가하는 도체와는 달리 아산화동이 발생하는 부위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이 낮아지는 특성을 갖습니다. 이로 인하여 아산화동이 발생되는 부위에 더많은 전류가 흐르게되고 아산화동은 더 증식됩니다. 전선간 접속이 불량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니 접속점에서 아크가발생하고 아산화동이 생성되며 도체가 발열하여 전선피복이 용융되기 시작합니다. 시작이 지날수록 아산화동은 더욱 증식되고 아산화동이 생성된 부위에 휴지를 올려놓자 착화가 진행되는 모습을 통해 화재가 발생할수있음을 알수있습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콘센트도 접촉불량으로 화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콘센트와 헐거워진 플러그를 접속할떄 접속불량으로인해 아크와 열이발생하고 아산화동이 생성과 증식이 진행되며 지속되는 발열로인해 발화하게됩니다. 콘센트가 헐거워진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합니다. 시간이지날수록 접촉불량 부위에서 열이 축적되어 아산화동이 생성되기 시작합니다. 또한 콘센트 덮개를 덮고 접촉불량을 시켰을떄 플러그가 고열에의해 녹아내리며 열기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음은 전선과 단자간 접촉불량 발생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단자대와 전선을 느슨하게 접속하고 전원을 인가하였을떄 접속불량 부위에 고열이 발생하여 아산화동이 생성됩니다. 진동이있는곳에서 사용하였을떄 접속부 주변에서 아크가발생하여 케이스가 탄화되는것을 보실수있습니다. 접촉불량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와 접속이 헐거워진 콘센트는 새것으로 교환하고 진동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전기 접속부의 전기 접속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