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금강하구 해수 제한유통 추진…금강 황복, 참게 복원 기대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리포트] 지난 1990년 완공된 길이 1,841m의 금강하굿둑. 하굿둑이 세워지면서 금강의 해수 유통은 30년 넘게 차단됐습니다. 수질 오염과 퇴적물 누적 등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지만 가장 큰 부작용은 생태계 변화입니다. 황복과 종어, 웅어와 뱀장어, 참게 등 회유성 어류나 바닷물과 민물이 섞인 곳에 사는 생물 대부분이 멸종하거나 자취를 감췄습니다. [이강선/서천참여시민모임 대표 : "바닷물이 들고나고 하는 기수역에서 이 어종들이 생활을 하고 산란도 하고 하는데 그런 조건들이 환경적으로 이제 사라진 거죠."] 하굿둑에서 1km 떨어진 금강의 지류 길산천입니다. 2025년까지 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금강하굿둑에서 이 길산천까지 제한적인 해수 유통 방안이 추진됩니다. 하굿둑에서 길산천 입구까지 폭 15m, 길이 1km의 대형 어도를 설치해 해수를 유통시킨다는 구상입니다. 간조때 길산천과 금강을 연결하면 회유성 어류의 순환 이동통로 역할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양승조/충남지사 : "생태복원의 효과가 있다면 결국 금강 하굿둑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는..."] 무엇보다 금강 해수유통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연간 3억 톤이나 되는 금강의 용수공급도 현 상황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는 금강 하구의 제한적인 해수유통 방안을 그린 뉴딜사업으로 추진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KBS 뉴스 유진환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