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Korean History Learned by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동십자각(東十字閣)은 1867년(고종 4) 경복궁 복원 당시에 세워졌으며, 경복궁의 동남쪽 모서리에 위치한 망루입니다. 정면 3칸, 측면 2칸에 겹처마의 사모지붕을 하고, 석축 기단 위에 세운 목조 누각 건물입니다. 장대석(長臺石)을 7단으로 높이 쌓은 석축은 지면에서 올라가면서 넓이가 줄어들게 견고히 쌓았고, 망루의 기둥에는 하인방(下引枋)과 창방(昌枋)을 매우 간단하게 돌렸으며,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벽채 없이 트여 있습니다. 공포는 2익공으로 45도 각도로 짜여진 귀에만은 설치하였고, 기둥 사이에는 긴 화반(華盤)을 올렸습니다. 사모지붕의 추녀마루는 회칠을 하고 용두(龍頭)와 잡상(雜像)을 배열하였으며, 정상부의 지붕마루의 가운데에는 탑모양의 기와 장식인 연화노반형(蓮花露盤形)의 절병통(節甁桶)을 올렸습니다. 단청은 화려함과 단순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느낌입니다. 전형적인 궁궐단청의 모루단청으로 정갈하게 장엄하였으며 기둥 양옆과 창방의 아래에는 낙양을 붙이고 당초문과 연화문으로 꾸며 누각의 미를 살려 멋스럽습니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을 중심으로 동십자각과 서십자각(西十字閣)을 같은 규모로 동쪽과 서쪽으로 대칭되도록 지어졌었지만 일제 시대때 조선총독부를 건립하며 길을 내게 되면서 서십자각은 철거되어 없어지고 동십자각만 남게 되었습니다. 원래 경복궁 담장에 연결되어 있었으며, 망루를 오르는 계단이 있었지만 철거되었고 지금은 동십자각만이 사직로와 삼청로가 교차하는 복잡한 도로 한가운데 홀로 외로이 갇혀 있습니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모진 수난의 역사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광화문의 동익루(東翼樓)로서 당당한 위용만은 잃지않고 멋지게 서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