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의료봉사도 공보의도 끊겨’…산불 피해지 의료공백 어쩌나 / KBS 2025.04.1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경북을 덮친 대형 산불로 고령 주민의 건강 악화가 우려되고 있는데요. 피해 지역에서 운영되던 의료 봉사활동이 곧 중단되는 데다, 최근 보건소 공보의도 크게 줄어 주민 건강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문다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피소 한켠의 임시진료소, 봉사 나온 의료진이 아픈 이재민을 살펴봅니다. ["숨쉬기는 괜찮으세요? 지금 약이 많이 없어서…."] 지난 3주간 산불 피해지에 투입된 의료진은 8백여 명, 이재민 3천 7백여 명이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오는 25일, 6개 대피소가 모두 철수하면서 의료봉사도 종료됩니다. 이후로는 각 보건소에서 이재민 진료를 이어갑니다. [윤성용/경북도 보건정책과장 : "3개 의료원의 찾아가는 행복병원과 시군 보건소의 공보의 및 지역 의료기관과 협력하여 순회 진료를…. 심리 지원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문제는 보건소 공보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현재 안동, 의성 등 산불 피해지역 보건소에 배치된 공보의는 단 34명, 이달 초 22명이 전역했지만 충원된 사람은 9명에 불과해 공보의 한 명이 보건소 3곳을 돌아가며 진료하는 실정입니다. 반면 고령 주민들의 의료 수요는 여전히 적지 않습니다. 강릉, 삼척 산불 피해 주민 중 2년 뒤 심부전으로 입원한 사례가, 산불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80% 더 많았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김인아/한양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 "(자연재해는) 그 순간의 재난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사회에 있는 인구 집단의 전체적인 건강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라는 점에서 보건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대대적인 임시 진료가 떠나면서 지역의 허약한 의료시스템이 더 도드라지게 된 상황, 산불 이후의 이재민 건강을 지속적으로 살피고 의료 공백을 메울 대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문다애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김현정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산불 #자연재해 #산불피해 #경북산불 #재난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