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CBS뉴스] 한반도평화통일연구원 공개 포럼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한반도에 평화의 바람이 불면서 남북통일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반도평화연구원이 한반도 평화를 위한 공동체적 접근을 주제로 공개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승규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통일 이후, 70년 이상 떨어져 살아온 남한과 북한 주민들이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공동체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한반도가 진정한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남과 북의 공동체성 회복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꼽히지만, 우리 국민은 북한을 친구도 적도 아닌 중간자적인 관계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반도평화연구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CG 1] '북한은 친구인가 적인가'를 묻는 질문에 중간자적 관계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온 것입니다. 친구는 10점으로, 적은 0점으로 나타낼 때 중간 점수인 5.44 점이 나온 것입니다. [CG 3] 주목할 점은 20대 이하의 젊은 세대와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북한을 적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높았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북한 관련 쟁점들 중에서는 한반도 비핵화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G 4]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북한 비핵화가 시급하다는 응답이 10점 만점에 7.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가 7.43점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CG 5] 반면 북한의 기업 투자와 남북의 정치적 통일은 5.71점과 5.67점으로 나타나 북한에 대한 적극적 유화책이나 남북의 정치적 통일과 같은 큰폭의 변화에 대해서는 시급하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 지앤컴리서치가 전국의 성인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했으며, 표본오차 95%에 신뢰수준은 플러스 마이너스 1.79%입니다. 한편, 한반도평화연구원이 이번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마련한 포럼에서는 남과북의 공동체적 중심 가치를 찾는 일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발제자로 나선 숭실대학교 김선욱 교수는 "이성적 비판의식을 갖춘 채 사회적 통합을 이끌어갈 자율성을 가진 시민적 덕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김선욱 교수 / 숭실대학교 김선욱 교수는 현재 남한은 개인적인 부와 성공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공동체와 공익을 위한 삶은 부족하다며, 우리 스스로 공동체 덕목을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CBS 뉴스 이승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