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5분 건강 톡톡] 올바른 모유 수유…시작이 중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멘트 모유가 아기 건강에 좋다는 건 알지만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아기가 태어나 현실이 되면 막상 실천이 쉽지 않다는 건데요. 모유수유 제대로 배우기만해도 초반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모유가 일단 장점이 분명히 있는거죠? 기자 멘트 네, 그렇습니다. 모유엔 아기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 면역물질이 들어있어 초반 성장과 발육에 충분한데요. 특히 모유수유아동은 호흡기나 소화기, 알레르기 질환 위험이 적고 성격이 원만해지는 등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세계보건기구 WHO는 모유수유를 최소 6개월에서 24개월까지 권장하는데요. 특히 생후 6개월까진 아기에게 다른 음식을 먹이지 않고 모유만 먹이는 완전모유수유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엔 산하 유니세프 조사결과 국내 완전모유수유율은 18%로 세계 평균의 절반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출생 직후 모유수유 비율이 95%에 달했지만, 3개월엔 절반으로 줄고 6개월엔 또 그 절반이하로 떨어집니다. 그만큼 모유수유가 쉽지 않다는 방증인 셈입니다. 질문 모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이유는 뭘까요? 답변 네, 아기가 태어나기 전엔 모유수유 당연히 하겠다고 마음먹지만 막상 아기가 태어나면 정말 쉽지 않다는 겁니다. 처음엔 모유도 잘 안 나오지 게다가 한밤중에 아기가 배고파서 뜬 눈을 지새고 모유를 먹이다보면 체력적으로 힘들기 마련입니다. 제가 한 산모를 만나봤는데요. 두 달 전 첫 아이를 출산한 20대 산모입니다. 처음엔 모유수유를 시도했지만 이젠 분유를 함께 먹입니다. 인터뷰 혼합 수유 산모: “(모유수유를) 고집했던 게 한 일주일 정도 한 5일정도 고집했던 것 같아요. 처음 애기 태어나서 5일 동안 계속 젖몸살이 해결이 안 되고 어쩔 수 없이 젖양이 너무 부족하니까 '분유 주세요'가 나오더라고요.” 실제로 모유중단 이유를 조사해보면 산모들이 모유량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완전모유수유율이 낮았던건 모유수유 기간에 대한 잘못된 인식때문인데, 모유수유 2~3달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엄마의 직장 복직과 맞물려 모유수유가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도 있었습니다. 질문 쉬운 문제가 아니네요. 아기랑 산모랑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답변 네, 처음 키워보는 아기 모유수유에 대해 주변사람에게 물어보기도 하고 인터넷도 찾아보는데 비전문적인 정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모유수유는 최소 6개월에서 24개월까지 권장된다는 사실 기억할 필요가 있고요. 먼저 모유량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중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부족한 산모는 2~3% 내외로 드물다고 합니다. 모유수유 방법만 제대로 교육받아도 모유 부족 문제는 해결할 수 있는데요. 원리는 간단합니다. 아기에게 젖을 자주 물릴수록 모유가 늘어난다는겁니다. 그래서 출산 후 30분에서 1시간 이내에 아기에게 모유수유를 하는게 관건입니다. 이때 아기의 빠는 힘이 가장 강해 젖을 잘 돌게 하고 이후에도 모유수유를 수월하게 하기 때문인데요. 아기 낳기 전에 미리 병원에다 출산직후에 모유수유 하겠다고 이야기해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모유수유 첫 일주일은 누구나 모유량이 적기 마련인데 이때 체념하고 바로 분유를 먹이게 되면 아기가 젖병에 익숙해져 모유를 찾지 않게 되고 또, 산모의 모유도 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초기에 아기와 같은 방을 쓰면서 아기가 원할때마다 자주 수유를 해주면 모유양 부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 젖 먹이는 자세도 중요한데요. 자세가 나쁘면 엄마도 힘들고 아기도 제대로 먹질 못합니다. 자세의 기본은 아기 배와 엄마 배가 마주하고 아기 얼굴과 엄마 가슴이 정면으로 마주보게 해야합니다. 그리고 모유는 아기가 스스로 뗄 때까지 아기 주도적으로 먹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질문 이야기 들어보니까 태어난 아기를 위해서 엄마가 정말 너무 고생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