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신용철 교수의 동서문화로 - 봉선사 운허 큰 스님(2022.11.1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동서문화로 '동서 문화로'입니다. 오늘은 '봉선사, 운허 큰 스님(독립운동가 이시열)' 관련하여 나눠봅니다. 20세기 우리의 상실과 전쟁 및 분단의 역사를 수도권의 조용한 산사에서 찾아봅니다. ◈ 광릉 봉선사와 운허 큰 스님 1. 수도권의 아름답고 울창한 숲속, 광릉의 봉선사 1) 경기도 남양주시의 광릉은 조선 세조와 정희왕후의 왕릉이며 봉선사는 그 수호의 원찰입니다. 그리고 이 광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이며, 수목원을 포함한 울창한 광릉 숲도 자연 생태계의 유네스코 유산입니다. 2) 봉선사는 대한민국 최북단 25교구의 본사, 교종의 본찰로 1551년 조선 명종 때 스님의 과거인 승과를 실시하기도 했습니다. 3) 1919년 3.1 운동 시, 봉선사의 태허 김성숙(뒤에 운암, 1898-1969), 이순재 스님 등은 손병희, 한용운 등을 접촉하며 진접면 부평리의 만세운동 벌인 조선독립군 임시사무소가 되기도 했다. 4) 운악산 봉선사의 한글 일주문을 들어서면서 지금 단풍으로 곱게 물들어가는 아름다운 숲속 사찰에서 한글로 쓰인“큰 법당”의 본전과 주련을 봅니다. 2. 나라와 중생을 사랑한 운허 큰 스님 ◈ 독립운동시기 1) 평북 정주 출신인 운허 스님(속명 이학수, 1892-1980)은 고향에서 한학, 측량술 학습, 대성 중학교 2학년 중학업을 중단, 만주에서 1920년까지 10여 년 간 항일운동과 민족교육에 종사했다. 2) 대종교의 윤세복이 세운 동창학교의 교사로 대종교에 귀의하고 대동청년단에 가입하며, 호를 檀叢 이름을 李時說)로 개명하고, 독립지사 박은식, 김숙, 이극로 등과 교사로 활약하다. 3) 흥동 배달학교로 이름을 바꾸며 교사로서, 서로군정서에 가담,『경종』과『한족신보』를 발간, 임시정부의『독립신문』에 기고하며 광한단(의흥단) 결성에 참여. 4) 1920년 상해 임시정부에서 안 도산을 만나 흥사단에 가입하고 대동청년단을 조직하고 조선혁명당에도 가입하며 민족 계몽운동을 전개한다. 5) 1928년 스님으로서 개운사에서 청담 스님등과가 불교정화와 청년조직 운동 중 왜경에 쫓겨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 하다 1932년 왜군의 습격으로 봉선사로 돌아와 월초 스님이 개설한 홍법강원에서 강의한다. 6)1954년 김승학, 신백우 등과『한국독립운동사』편찬과 집필, 1973 년 독립운동가『신백우선생전』을 출간. ◈ 독립군에서 유점사-봉선사의 스님으로 1) 1921년 서울에서 왜경에 쫓겨 강원도 평강의 봉일사에 숨었다가 불가에 귀의하고 박용하로 개명하고 금강산 유점사를 거쳐 연말에 광릉 봉선사로 불려와 월초 스님의 지도로 경학과 수도에 정진한다. (압록 도강, 봉일 삭발, 유점 법무, 월초 항일 불교 논쟁) 2) 월초 스님의 치밀한 지도와 보호를 받으면서 범어사, 유점사, 개운사 등에서 특히 經學에 정진, 사찰 업무에도 충실 한다. 이 때 이미 어려운 불경의 한글화를 결심 3) 일제 말 원초스님이 개설한 홍법강원의 강의하며 침체된 불교의 개혁을 주장, 일제의 압박으로 강원이 중단 4) 1945년 해방 후, 경기 교무원장을 맡고 , 46년 4월 봉선사에 광동중학교를 개설하여 교장으로 사릉에 머물던 춘원 이광수를 국어와 영어 교사로 초빙한다. ◈ 6.25 전란 후의 저술과 교육활동 활동 1) 전란으로 봉선사와 광동중학교는 불타고, 부인은 별세, 딸 부부와 아들은 생 이별, 스님은 처형의 위기를 겨우모면하여 안성 청량사를 거쳐 양산 통도사에 머물다. 2) 1954년 김승학등과『한국독립운동사』의 편찬과 집필, 1961년 한국 최초의『불교사전』저술,1973년『신백우선생전』을 출간했다.(회갑 자시, 애국, 불자-여생을 기약) 3) 통도사 동학사 해인사 등 전국의 유수한 사찰의 강원에서 명 강의로서 비구니를 포함한 많은 후진을 양성하였다. 4) 침체된 광동학원의 이사장으로 활력을 불어넣고, 교사를 진접읍 장현리로 옮기며, 의정부의 고등공민학교를 인수하여 고등학교로 육성 하다. ◈ 역경: 8만 대장경 번역의 대업 1) 1964년 동국대학에 동국역경원을 개설하고 역경원장과 역경위원장을 맡아 1년에 8권씩 대장경 번역을 주도. 2) 내세에도 역경을 하겠다는 각오로 3분의 1을 마치고, 입적하여 제자 월운 스님이 계승하여 2002년 장충체육관에서 회향법회로 대업을 완수하였다. 3) 1970년 전란 중 불탄 대웅전을 중창하며「큰 법당」기둥의 글씨인 柱聯(주련)도 모두 한글로 쓰다. 4) 1980년 11월 17일( 음 10월 10일) 봉선사에서 입적. ◈ 위대한 후년과 추모 1. 불천회관 (佛泉會館) 독립운동 중, 한 동지가 이시열의 용감성을 ‘1당 천’ 의 용기라 하자 그는 천명만으로 되겠는가? 억은 되어야지! 라고 해서 이후 그는 “不千동지” 라고 불렸다. 해방 후, 이미 스님이 되어, 발음대로 ‘불교의 샘(佛泉)으로 고쳤다. 여기서 불천회관이 유래한다. 2. 국가의 포상 1) 1962년 문화훈장, 1963년 에 독립운동 표창장 2) 1978년 동국 대에서 명예철학박사 학위를 받다. 3) 1990년 건국공로훈장 애국장이 추서되다. 3. 사내와 광동학원의 추모 1) 다경실 불천회관에는 영정이 모셔지고, 2) 봉선사 입구 비석. 부도 전에 운허 대종사 추모비와 운허 대종사 부도가 설치되다. 3) 광동학원에는 1990년에 공적 기념비를 세우다. 4) 중학교 옆에 동상을 세우다. 5) 고등학교의 기숙사를 불천회관으로 이름 하다 --------------------------------------------------------------------------------------------------------- 신용철 교수 소개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졸업.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석사 및 철학박사 학위.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교수 엮임.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장 엮임. 경기도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 활동 엮임.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주요 저술: 비림비공운동 중 중국에서 이탁오 사상의 정치적 수용(석사 논문) 이탁오의 역사관시론. 초횡의 생애와 사상. 20세기 중국의 유교 논쟁. 서독사회민주당의 동방정책. 이탁오의 사회비평-그의 여성관을 중심으로(독문), 페터랑. 세계의 역사와 문화, 탐구당. 동양의 역사와 문화, 탐구당. 통일시대의 민주시민교육론, 탐구당. 홍콩은 어디로 가는가, 우석. 마카오 1999년, 우석. 하이델베르크의 추억, 우석. 운허 스님의 큰 발자취, 동국역경원. 『공자의 천하 중국을 뒤 흔든 자유인 이탁오 李卓吾』, 지식산업사. 번역 저술: 중국의 문화혁명(볼프강 프랑케, 탐구당) 중국현대정치사(W.로진스키, 탐구당) 중국인민해방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