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머구리씨] C언어-09.변수(Variable)를 사용해 볼까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지금까지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을 서식문자를 이용해서 모니터에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기억나시나요? 배운 것을 토대로 간단히 복습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정수를 출력해보겠습니다. 정수 3을 출력해보겠습니다. 정수 중에서 십진수 서식으로 출력하겠습니다. 십진수 서식출력문자는 ‘%d’였죠~. %d를 이용해서 정수 3을 출력합니다. 정수는 영어로 Integer이구요. 십진수는 Decimal입니다. 두 번째는 실수를 출력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실수 서식은 ‘%f’이죠~. ‘%f’서식문자를 이용해서 실수 3.14를 출력해보겠습니다. 실수는 영어로 Float이라고 하죠 세 번째는 문자를 출력해보겠습니다. 문자 출력서식문자은 ‘%c“ 였습니다. 문자 ’B”를 출력해보겠습니다. 문자는 영어로 Character였죠~ 마지막으로 문자열을 출력해보겠는데요 문자열 서식문자는 ‘%s’이죠~ 이렇게 실행하면 “정수 : 3”, “실수 : 3.140000”, “문자 : B”, 그리고 “문자열 : BOY”가 출력이 됩니다. 출력을 위해서 사용된 데이터들을 보겠습니다. 정수 3, 실수 3.14, 문자 ‘B’, 문자열 “BOY”는 값을 바꿀 수가 없죠~ 항상 같은 데이터들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바꿀 수 없는 값을 사용하는 수를 한자어 항상 상(常)을 사용해서 상수(常數)라고 합니다. 그리고, 각자의 데이터형에 따라 정수는 정수상수, 실수는 실수상수, 문자는 문자상수, 문자열은 문자열상수라고 합니다. 정수 출력하는 문장을 하나 복사하겠습니다. 현재 이 문장은 정수 3만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여러 정수들을 바꿔가면서 출력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정수상수 3 대신에 이 자리를 다른 숫자로 바꾸면 되겠죠? 5를 출력하고 싶으면 5를, 100을 출력하고 싶으면 100을 이 자리에 대신 넣어주면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소스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사람만 상수값을 바꿀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는 그대로 두고 출력값을 변경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상수 대신에 방을 만들어서 그 방에 있는 내용을 출력하도록 하면 됩니다. 100이라는 숫자 대신에 “aa”라는 이름의 방을 주는 겁니다. 자~이렇게 되면 “aa”라는 방에 있는 내용을 출력하세요~ 라는 문장이 됩니다. 그런데, 방을 사용하려면 먼저 방을 만들어야 하겠죠? 방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방의 이름을 정해야합니다. 여기서는 이미 “aa”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두 번째는 방안에 어떤 형식의 내용을 저장할 것인가를 정해줘야 합니다. aa 자리에 있었던 값의 내용이 어떤 형식이었나요? 3, 5, 100 등이 있었죠~ 얘들은 정수상수들이었습니다~ 즉, 정수형이라는 얘기죠~ 정수는... 영어로 INTeger죠~ 대표문자 int를 이용합니다. 정수형 방을 만들겠습니다. int.. 이름은 “aa”입니다. printf()함수의 프로세스를 보면 데이터인 숫자가 이동하는 방향이 오른쪽으로 가나요? 왼쪽으로 가나요? 그렇죠~ 데이터를 왼쪽으로 보내서 처리를 하죠~. 컴퓨터에서 데이터는 보통 왼쪽으로 진행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사람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입니다.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수식에서 데이터의 결과는 오른쪽에 있죠. 3 + 5 = 8 이런 식으로요. 그런데 컴퓨터에서는 결과의 방향을 왼쪽으로 바꿔서 8 = 3 + 5 라고 표현을 합니다. 자~ 이것과 맥락을 같이하면 aa = 3; 은 어떤 문장일까요? 이 문장은 “3이라는 숫자를 aa라는 정수형 방에 저장해라” 라는 명령입니다. 그리고 aa라는 공간에 있는 내용을 printf()함수에서 출력하게 되는겁니다~ 그런데 aa = 30;이라는 문장을 중간에 삽입하면 결과는 어떻게 되나요? 30이 출력되겠죠~ aa 방에 가장 최근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이 사용되는 겁니다. 그 전에 저장된 값을 새로운 값이 덮어쓰게됩니다. 이렇게 aa 방은 그대로 있지만 그 안의 내용은 바뀌어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aa라는 방을 변수(變數)라고 칭합니다. “안에 들어있는 내용이 변할 수 있다”라는 의미에서 변할 변(變)자를 사용하는 거죠. 그리고 이 aa 변수에는 정수만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aa변수를 “정수형 변수”라고 합니다. 정수형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변수 선언”이라고 하구요.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변수에 값 대입”이라고 합니다. ================================================================================= 똑같은 형식으로 실수형 변수를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변수를 먼저 선언을 한 후에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실수형 변수 하나 선언하겠습니다. 변수이름은 “bb”라고 하겠습니다. 실수.. 영어로... float이죠~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실수형 변수 선언하겠다.. float 이름은?.. bb 그리고, 실수형 변수 bb에 실수값 2.34를 저장하겠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2.34가 왼쪽의 실수형 변수 bb에 저장됩니다. 그리고 실수형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문자형 변수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이번에도 변수를 먼저 선언을 한 후에 사용해야합니다. 문자는.. 영어로... CHARacter죠~ 왼쪽부터 4개 문자 char 을 사용하면 됩니다. 문자형 변수 선언하겠다..char 이름은?.. cc 그리고, 문자형 변수에 문자 ‘B’를 저장하겠습니다. 문자는 작은 따옴표로 묶어주죠~ 오른쪽에 있는 문자 ‘B’가 왼쪽의 변수 cc에 저장됩니다. 그리고 문자형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문자열 변수를 사용해 볼 텐데요. 문자열변수는 다른 변수들과는 약간 다릅니다. 문자열 변수는 문자를 몇 개 저장해야 하는지를 포함해서 선언해야 하구요. 선언과 동시에 문자열을 저장해야 합니다. 자 “BOY”라는 문자열은 문자 3개가 합해 진거죠. 문자 ‘B’, ‘O’, ‘Y’가요. 그래서 문자가 저장될 공간이 3개 필요합니다. 그런데, 문자열은 저장해야 할 문자보다 무조건 1개의 공간을 더 확보해야합니다. 그래서 “BOY”라는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4개의 문자저장공간이 필요합니다. char - 문자를 저장합니다. dd - 이름은 dd이구요. [4] - 그런데 저장할 문자 3개를 저장해 합니다. 그럼 4개의 공간이 필요하겠네요. =“BOY”; - 그리고 그 공간에 “BOY”;를 저장하겠습니다. 이렇게 문자열의 선언과 초기값 저장을 한 번에 처리합니다. 그리고 이 문자열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하겠습니다. 오늘은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변수는 값이 저장할 수 있는 일종의 컴퓨터 내에 있는 방입니다. 변수에 저장된 값은 계속 바뀔 수가 있구요, 그래서 그 방을 변수라고 합니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맨 먼저 선언을 해야 됩니다. 선언을 할 때는 변수에 저장되는 값의 형식에 맞춰서 해야 합니다. 저장되는 값이 정수형이면 int, 실수형이면 float, 문자형이면 char... 그리고 변수를 사용할 때에도 선언된 변수의 형식에 맞는 값을 저장합니다. 정수값은 정수형변수를, 실수값은 실수형변수를, 문자는 문자형변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변수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