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죽음을 준비하는 정신의 절차탁마 (feat. 제7의 봉인, 소크라테스, 에피쿠로스, 스토아)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잉마르 베리만의 1957년도 영화 "제7의 봉인"은 죽음을 다룬 영화입니다. 영화는 14세기 중엽 10년 간의 십자군 원정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기사에게 어느 날 죽음의 사신이 찾아오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기사는 사신에게 체스 게임을 하자고 제안을 하고, 체스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의 죽음을 유예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죽음의 사신은 그 제안을 혼쾌히 받아들이죠. 죽음을 유예시켜 놓은 기사는 신이 존재하는지,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죽음이 무엇인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그 어디에서도 그에 대한 대답은 찾을 수 없었죠. 마을에서는 흑사병이 돌아 수 많은 사람이 죽어 나갔고, 흑사병을 신의 저주라고 생각한 사람들은 서로를 매질을 하며 신에게 용서를 구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마녀 사냥이라는 집단적 광기가 마을 전체를 휩쓸고 있었습니다. 기사는 신의 모습을 보기 위해서 교회를 찾기도 하지만 그에게 돌아오는 것은 신의 침묵 뿐이었습니다. 결국 기사는 신의 응답을 받지 못한채 죽음의 사신과 마지막 체스를 둡니다. 그리고 죽음의 사신은 체크 메이트를 부르고 영화는 끝납니다. 인간은 죽습니다. 세상에 그것만큼 명백한 사실은 없죠. 인간은 죽기 때문에 자신의 삶의 의미를 묻습니다. 인간이 만약에 영원히 산다면 아마도 자신의 삶의 의미 따위를 묻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죽음이 없다면 철학도 없었을 겁니다. 즉 인간은 죽기 때문에 삶의 의미를 묻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철학인 겁니다. 수 많은 철학자들이 죽음이 무엇인지 이야기 했고, 또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직접적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죽음. 이것이 바로 오늘의 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