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수리부엉이는 왜 새끼가 다 컸는데도 교미할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수리부엉이 EP.2. 야생의 밤을 지배하는 수리부엉이, 왜 새끼를 키우는 동안에도 밤마다 사랑을 나눌까? 날개편길이가 1.8m에 달하는 수리부엉이는 우리나라 야행성 동물 중에서 가장 크고 매서운 추위가 몰아치는 한겨울(12월-1월)에 번식을 시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수리부엉이는 알을 낳은 후에도, 새끼를 키우는 기간에도 밤마다 교미를 한다. 왜 수리부엉이는 인간과 유사하게 수정목적 이외의 교미행동을 지속할까? 그 숨겨진 비밀을 공개한다. 다친 새를 구조, 치료, 방사하는 한강생물보전연구센터에서 수리부엉이가 번식에 들어가 인공번식의 새 장을 열었는데, 그 현장을 야생의신이 함께 한다. 번식 전과정을 시리즈로 업로드 예정이다. [주요 내용] 00:00 ~ 00:16 프롤로그 00:16 ~ 03:08 새끼가 있는데도 교미하는 수리부엉이 03:08 ~ 07:19 수리부엉이가 날마다 교미하는 이유 : 짝의 관계 유지 수단 07:19 ~ 10:15 부화 후 23일째, 새끼의 왕성한 식욕 / 에필로그 [관련 영상] 밤의 제왕 수리부엉이는 왜 한겨울에 번식할까? • 밤의 제왕 수리부엉이는 왜 한겨울에 번식할까? 황조롱이는 새끼가 깨어나도 교미할까? • 황조롱이는 새끼가 깨어나도 교미할까? #수리부엉이 #교미 #밤마다교미 #일년내내교미 #한강생물보전연구센터 #신동만PD박사 #자연다큐 #야생생태 #동물 #새 #@야생의신 #@wildscene3 #동물행동 #번식 #생존전략 #황대인 #야행성맹금류 #육추 #새끼키우기 #먹이 #구조 #pair-bond #짝의관계유지 #평생부부 #일부일처 #텃새 [야생의신 구독하기] / @wildscene3 음악 : Jeong Seung Eun(정승은) 영상 속에 삽입된 음악은 정승은 감독의 저작권 승인 하에 사용함 *일부 영상은 한강생물보전연구센터(황대인센터장)의 사용허가 하에 사용하였음 **본 영상을 촬영한 곳은 다친 새를 구조해서 치료해 방사하는 한강생물보전연구센터입니다. 이곳의 맹금류 및 야생조류 보호 활동을 후원하고 싶은 분은 한강생물보전연구센터로 문의하세요(070-4113-0119) Facebook / 1ecrwqmmso 출판, 강의, 협업, 제보 등에 관한 문의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