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족집게 도사 권중서의 절구경 - 사천왕의 모습 1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족집게 도사 권중서의 절구경 사천왕의 모습 1 #korea #Korea Buddhist YouTube #Korean Temple #Buddhist study #Korean culture #Korean spirit #Buddha #Korea's Best Proud #Monks #Buddhist scriptures #Korean Buddhism #Korean Buddhist History 안녕하십니까? 유쾌한 족집게 도사 《권중서의 절 구경》을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사찰에서 키와 덩치가 제일 큰 사천왕을 만나러 가겠습니다. 사찰에 가면 천왕문이 있는데 인간위의 첫 하늘의 왕이 있는 문이라 하여 천왕문, 네 분의 왕이라 하여 사천왕문, 불자들을 보호해 준다하여 옹호문, 인간세계를 두루 살핀다하여 회전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러지고 있습니다. 사천왕은 불자들을 보호하겠다는 서원을 나타낸 갑옷을 입고 사찰의 근위병처럼 큰 키에 멋지며 다정하면서도 위엄이 서린 그런 모습으로 불자들을 반갑게 맞이해 줍니다. 그동안 “사천왕은 무섭고 두려운 존재”라는 오해를 받아왔지만 그런 오해를 풀고 얼마나 고마운 존재인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미산 중턱에 있는 사왕천은 제석천의 명을 받아 항상 인간세계를 살피는 착한 신으로 세상을 보호한다 하여 호세천왕이라 합니다. 사천왕은 각 동남서북 사방 여덟 하늘을 다스리며 인간과 더불어 생활하는 신입니다. 경전에 따르면 사천왕의 무리들은 한 달에 6번 인간세계를 살피는데 매월 1일,15일에는 사천왕이 직접살피고, 14일, 29일에는 태자가, 8일, 23일에는 신하들이 내려와 인간을 살펴 제석천왕에게 잘하고 못하고를 보고한답니다. 특히 사천왕이 직접 인간세계를 살필 때가 중요 합니다. 초하루와 보름이죠? 이때 딱 걸리면 안되죠. 이땐 절에 가서 나의 잘못을 참회하고 보살도를 실천하겠다고 발원하면 사천왕도 잘못을 용서해 준다고 합니다. 그럼 사천왕을 살펴볼까요?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오른쪽 위쪽이 동방 지국천왕, 아래쪽이 남방 증장천왕, 왼쪽 아래쪽이 서방 광목천왕, 위쪽이 북방 다문천왕입니다. 동방을 맡은 지국천왕은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신입니다. 지국천왕을 “일체 중생을 기쁘게 하는 것이 임무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중생을 즐겁게 하는 것은 음악이죠. 그래서 비파를 타면서 천상의 노래를 부르는 지국천왕의 표정은 밝고 온화합니다. 음악에 심취된 얼굴은 눈은 가늘게 뜨고, 약간 찡그린 콧대엔 주름이 잡히고, 입술은 살짝 벌려 고른 이빨을 드러내 즐겁게 노래를 합니다. 중생들의 근심과 걱정을 노래에 실어 날려 보내는 듯합니다. 얼마나 평화로운 모습입니까? 부처님께서는 “나라를 지키는 일은 백성을 즐겁게 함으로써 지켜진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지국천왕 중 김천 직지사의 지국천왕의 노래 솜씨는 최고인가 봅니다. 비파 꼭대기에 앉아 노래를 따라하는 동물이 있어 재미있는 모습입니다. 남방을 맡은 증장천왕은 인간의 지혜와 복덕을 키워주고 이익을 늘려주는 신입니다. 증장천왕을 눈여겨봐야 합니다. 그리고 눈인사라도 해서 아는 채를 해야 됩니다. 왜냐구요? 불자들의 재물, 수명, 안락, 부귀, 지혜 등 이 다섯 가지를 늘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증장천왕입니다. 특히 중생들의 지혜를 늘려 부처가 되게 하려고 금강보검으로 번뇌를 잘라주는 신입니다. 증장천왕의 얼굴을 보면 괜스레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오른손에 검을 잡고 흰 이빨이 들어나도록 이빨을 꽉 다물어 힘을 쓰는 표정은 “오랜 세월동안 쌓아온 중생들의 번뇌가 이렇게 질긴가? 어! 날카로운 금강보검으로도 잘리질 않네?” 다시 한 번 힘을 쓰는 모습이 안쓰럽습니다. 이번엔 잘못 만들어진 사천왕을 살펴볼까요? 화성 용주사의 지국천왕와 증장천왕은 인자하기는커녕 모두가 눈을 부릅떠서 서양 신의 모습입니다. 또 강진 무위사의 지국천왕은 노래하는 것이 괴롭고, 증장천왕은 오히려 두려워하는 표정입니다. 진도 쌍계사 지국천왕은 입을 다물고 노래를 할까 말까 눈치를 보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이상한 사천왕이 나오게 된 것은 6.25 이후 서양의 유일신 사상이 빠르게 자리 잡으면서 신은 두려운 존재로 인식하게 되어 사천왕에 대한 개념을 모르는 조각가들이 “신은 무조건 두렵게만 만들면 된다.”는 식으로 잘못 만든 조형입니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사천왕이 탄생되었습니다. 불교 교리도 모르면서 이런 사천왕을 만들면 안 되겠죠? 사천왕이 앞에서 설명 드린 모습이 아니면 대부분 6.25 이후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여러분도 사찰에 가시면 조성연대나 잘못된 사천왕의 모습을 구별하는 안목이 생길 겁니다. 오늘은 지국천왕과 증장천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광목천왕과 다문천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쾌한 족집게 도사 권중서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