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지금 당장 밀가루와 유제품을 끊어야 하는 6가지 이유(셀리악병이 다가 아니다, ft. 논문 참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Q1. 알레르기 유발하는 밀가루, 유제품, 콩 Q2. 염증반응과 알레르기 유발 식품 Q3. 밀가루의 글루텐만 문제일까? Q4. 밀가루의 중독성을 쉽게 보지 마라 Q5. 글루텐과 카제인이 뇌에서 일으키는 문제점 Q6. 글루텐은 세로토닌도 방해한다 간단하고 효과적인 건강 식이법 무료 자료 https://litt.ly/brainplanet 😍 스펙트럼 증상 아동에게 영양이 중요한 이유 • 자폐스펙트럼 식단관리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다면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지금 당장 우유를 끊어야 하는 8가지 이유와 대체식품 • 지금 당장 밀가루와 유제품을 끊어야 하는 6가지 이유(셀리악병이 다... • 산만한 아이들이 우선적으로 가장 피해야 하는 식품 2가지, 이 2가... 😍 스펙트럼 증상 필수 검사 • 언어 지연, 발달지연이 있는 아이들이 치료 전 이 검사를 안 하는 ... • 3분이면 장 건강을 확인할 수 있다? 장내미생물 검사의 모든 것 (... 기능의학 검사 https://zrr.kr/Hz69 건강상점 https://zrr.kr/VRlw EBN 영양프로그램 https://bit.ly/3HPyQYg 뇌균형연구소 구독하기 / @뇌균형연구소 밀가루의 유해성과 관련된 객관성 장내벽의 손상이나 이로 인한 누수는 장내염증 증후군, 장누수 증후군,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진단되기도 하면 이런 장내벽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자가면역의 면역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셀리악병이라고 합니다. 셀리악병은 전체 인구의 3% 정도가 있다고 하는데 최근 들어 2배 넘게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국내에서 밀가루의 글루텐에 대해 비방하는 대부분의 근거는 셀리악병이 서양인들에게만 있고 아주 비율이 낮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밀가루와 관련되는 진짜 문제는 셀리악병에 있지 않습니다. 셀리악병은 아니지만 밀가루의 글루텐 단백질에 대한 면역관용 파괴/민감도 증가(Nonceliac Gluten Sensitivity or Gluten Sensitivity )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진단된 사람들만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데다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10년 사이에 이와 관련된 연구 또한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밀가루의 글루텐을 통한 염증반응, 알러지, 지연성 알레르기 반응 등을 통한 장내벽 손상을 일으킵니다. 글루텐에 대한 관용성 감소는 신체뿐만 아니라 두뇌와 관련된 정신적 증상들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외 글루텐 단백질 외에도 밀의 다른 성분에 대한 면역 관용학적 문제들 또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합니다. 제한된 지면이라 모든 참조 논문들이 실리지 않아 극히 일부인 1/30 정도만 발췌합니다. [일부논문] Alonso Canal L, Isasi Zaragoza C, Colmenero Blanco I, Martínez Gómez MJ, Arcas Martínez J., Clinical features sugges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 a manifestation of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An Pediatr (Barc). 2014 Dec;81(6):409-11. doi: 10.1016/j.anpedi.2014.02.021. Epub 2014 Mar 18. Uhde M, Ajamian M, Caio G, et al. Intestinal cell damage and systemic immune activation in individuals reporting sensitivity to wheat in the absence of coeliac disease, Gut 2016;65:1930-1937. Vojdani A, O’Bryan T, Kellermann GH. The immunology of immediate and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 to gluten. European J of Inflammation. 2008 ; 6(1): 1-10. Catassi C1, Bai JC, Bonaz B, Bouma G, Calabrò A, Carroccio A, Castillejo G, Ciacci C, Cristofori F, Dolinsek J, Francavilla R, Elli L, Green P, Holtmeier W, Koehler P, Koletzko S, Meinhold C, Sanders D, Schumann M, Schuppan D, Ullrich R, Vécsei A, Volta U, Zevallos V, Sapone A, Fasano A.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the new frontier of gluten related disorders. Nutrients. 2013 Sep 26;5(10):3839-53. doi: 10.3390/nu5103839. Fasano, A., Sapone, A., Zevallos, V., & Schuppan, D. (2015).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Gastroenterology, 148(6), 1195–1204. doi:10.1053/j.gastro.2014.12.049 Massari S1, Liso M, De Santis L, Mazzei F, Carlone A, Mauro S, Musca F, Bozzetti MP, Minelli M., Occurrence of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 Int Arch Allergy Immunol. 2011;155(4):389-94. doi: 10.1159/000321196. Epub 2011 Feb 22. Leduc V, Moneret-Vautrin DA, Guerin L, Morisset M, Kanny G. Anaphylaxis to wheat isolates: immunochemical study of a case proved by means of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food challenge. J Allergy Clin Immunol. 2003 Apr;111(4):897-9. Hadjivassiliou M, Grünewald RA, Davies-Jones GA. Gluten sensitivity as a neurological illnes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2 May;72(5):560-3. 12 Hadjivassiliou M, Grünewald RA, Lawden M, Davies-Jones GA, Powell T, Smith CM. Headache and CNS white matter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gluten sensitivity. Neurology. 2001 Feb 13;56(3):385-8. Ford RP. The gluten syndrome: a neurological disease. Med Hypotheses. 2009 Sep;73(3):438-40. Epub 2009 Apr 29. Hadjivassiliou M, Sanders DS, Grünewald RA, Woodroofe N, Boscolo S, Aeschlimann D. Gluten sensitivity: from gut to brain. Lancet Neurol. 2010 Mar;9(3):318-30. Ruuskanen A, Kaukinen K, Collin P, Krekelä I, Patrikainen H, Tillonen J, Nyrke T, Laurila K, Haimila K, Partanen J, Valve R, Mäki M, Luostarinen L. Gliadin antibodies in older population and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Acta Neurol Scand. 2012 Apr 12. Rashtak S, Rashtak S, Snyder MR, Pittock SJ, Wu TT, Gandhi MJ, Murray JA. Serology of celiac disease in gluten-sensitive ataxia or neuropathy: role of deamidated gliadin antibody. J Neuroimmunol. 2011 Jan;230(1-2):130-4. Volta U, De Giorgio R. Gluten sensitivity: an emerging issue behind neurological impairment? Lancet Neurol. 2010 Mar;9(3):233-5. Serratrice J, Attarian S, Disdier P, Weiller PJ, Serratrice G. Neuromus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antigliadin antibodies. A contentious concept. Acta Myol. 2004 Dec;23(3):146-50. Schlesinger I, Hering R. Antigliadin antibodies in migraine patients. Cephalalgia. 1997 Oct;17(6):712. 참고 이 콘텐츠 내용은 엄격히 뇌 균형 연구소의 의견이며 정보 제공 및 교육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또한 의학적 조언을 제공하거나 의사의 진찰과 치료를 대신할 의도는 없습니다. 이 콘텐츠를 시청하는 모든 분들께서는 특정 건강 관련 질문에 대해 의사 또는 자격이 있는 건강 전문의에게 문의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뇌 균형 연구소의 콘텐츠 게시자는 뇌 균형 연구소의 교육용 콘텐츠의 정보를 읽거나 시청하는 모든 분들의 건강 결과에 대해 책임 지지 않습니다. 이 콘텐츠의 모든 시청자, 특히 처방전이나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의약품을 복용하는 분들은 영양, 보충제 또는 식이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