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머구리씨] C언어-08고정소수점(fixed-point)과 부동소수점(floating-point) 표현방식을 구별하자. 정규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실수형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소수점이 있는 수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0.1234라는 실수를 우리는 보통 이렇게 사용하죠 그리고, 또 다른 표현방법으로 각 자릿수의 승수를 가지고도 표현할 수 있죠~ 이건 10진수이니까 ~ 10의 승수를 이용해서 이렇게 말이죠~ 1.234×10-1 12.34×10-2 0.001234×102 이렇게도 표현할 수가 있습니다. 모두 크기는 같습니다. 단지, 표현방식만 다를 뿐입니다. 일단 오른쪽에 표현된 방식에서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이건 가수라고 하구요, 이건 기수, 이건 지수라고 합니다. 지수는 영어로 Exponent라고 합니다. 이 표현방식은 왼쪽 표현방식과 다르게 지수라는게 있어서 지수형표현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지수표현방식에서는 소수점의 위치를 바꿔도 지수값을 변경하면 같은 크기의 실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수점을 이동해서 표현할 수 있는 표현방식을 .. 소수점이 둥둥 떠다니는... floating...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부”라는 단어를 사용해서 부동소수점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왼쪽에 있는 0.1234 는 소수점을 움직여서는 같은 크기를 표현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소수점이 고정되어 있다. 즉, 고정소수점 방식이라고 합니다. 이 부동소수점방식은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약간 다르게 표현을 바꿔야 하는데요. 지수의 영어 철자인 Exponent의 e를 이용해서 1.234e-1, 12.34e-2, 0.001234e2 와 같은 식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이 세 가지의 표현방식 중에서 1.234e-1처럼 소수점 이상이 한 자리수 자연수가 되게 표현하는 것을 정규화, Nomalization 라고 합니다. 부동소수점방식은 고정소수점방식보다 보다 넓은 범위의 수를 나타낼 수 있어서 과학기술 계산에 많이 이용됩니다. 그러나, 근사값으로 표현이 되고, 고정소수점방식보다 연산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