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조동일특강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조동일 특강 4강 『문학에서 철학읽기, 문명전환의 시발점』 강의 키워드 : 철학알기, 철학읽기, 철학하기, 문학읽기, 문명전환, 인생만사가 철학, 구비문학, 통찰력, 숙종이 만난 명풍수, 덕다리에서 살아난 처녀, 지관, 명풍수 숙종대왕, 보리개떡, 호열자, 장자단지, 원혼이 된 동전, 이인 농부, 시골 무지렁이, 시골 총각, 세상일은 여러 층위, 차등 지나치면 역전 자초, 무식이 유식이고, 미천이 존귀이고, 불운이 행운이고, 빈곤이 부유 역전, 철학으로 철학하기, 문학으로 철학하기, 사이비 철학의 위세, 철학하기는 초야에 묻혀, 철학알기에 머무르는 철학, 건강알기, 건강하기, 이슬람 수피, 의로움 실행 군자, 이익 추구 소인, 플라톤 철인, 힌두교 구루, 불교 사문, 살아가는 각성과 결단이 철학, 생극론, 대등론 이치, 대등문명, 아는 것은 짐이다, 차등문명에서 대등문명으로 #철학알기 #철학읽기 #철학하기 #문학읽기 #문명전환 #구비철학 #대등문명 〚조동일문화대학〛 네 번째 특강 『문학에서 철학읽기, 문명전환의 시발점』(약칭 철학읽기) 안내입니다. 가. 『문학에서 철학읽기, 문명전환의 시발점』(약칭 철학읽기) 1. 강좌 소개 1) 발표 배경 : 이 강좌는 계명대 목요철학원이 '목요철학 인문포럼' 40주년을 맞아 개최한 “인문학적 성찰의 눈으로 새로운 문명을 디자인하다”라는 학술심포지엄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이 행사는 2020년 10월 8일, 대구 범어도서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2) 강의 내용 : 『문학에서 철학읽기』라고 하는 책을 쓰고 있다. 철학알기ㆍ철학읽기ㆍ철학하기의 관계를 말하고, 철학읽기를 자세하게 고찰하는 내용이다. 문학에서 철학읽기는 문학을 깊이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소중할 뿐만 아니라, 철학을 새롭게 창조하는 동력으로 더 큰 의의가 있는 것을 밝힌다. 이 작업이 문명 전환의 시발점 발견까지 나아간다. 철학은 철학하기를 목표로 한다. 철학하기를 위해 철학알기의 준비단계에 시간을 너무 낭비한다. 철학알기는 어느 정도 하다가 밀어놓고, 철학읽기를 철학하기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이 현명하다. 문학에서 철학읽기는 많은 것을 말해준다. 철학은 철학자의 저작에만 있는 것은 아니고, 인생 만사가 철학이다. 이치를 따지고 가치를 추구하는 논란은 무엇이든 철학이다. 인생 만사에서 이치를 따지고 가치를 추구하는 행위가 문학에 특히 잘 나타나 있다. 문학에 나타나 있는 철학을 읽어내 정리하면 문학 이해를 심화할 수 있는 것을 알고, 문학 연구자들은 필요한 작업을 계속해 왔다. 문학에서 철학읽기를 문학을 위해서만 하지 말고, 철학을 위해서도 하자고 제안한다. 문학보다 철학을 위해서 더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2. 〚조동일문화대학〛 전체 강좌 안내 1) 정규강좌 ① 『창조주권론』Ⅰ: 완료 ② 『남불문화기행』 : 완료 ③ 『문학사탐색』Ⅰ : 완료 ④ 『산수화, 다시 보고 새로 그리자』 : 진행 중 ⑤ 『이슬람 문명의 이해』 : 진행 중 ⑥ 『창조주권론』Ⅱ : 예정 ⑦ 『문학사탐색』Ⅱ : 예정 ⑧ 『세계문학 백문백답』Ⅰ: 예정 정규강좌 수강방법 : 강의를 듣고 댓글로 출석 표시, 강의가 모두 끝나면 2/3 이상 수강자 논평 제출, 평가학점 부여 2) 특강 ① 『한국문학과 몽골문학의 유형적 비교』 : 완료 ② 『카타르시스ㆍ라사ㆍ신명풀이』 : 완료 ③ 『우리 공연예술의 대등창작 원리』 : 완료 ④ 『문학에서 철학읽기』 : 완료 ⑤ 『한국문학과 월남문학』 : 예정 ⑥ 『근대 이행기문학의 상하남녀관계』 : 예정 3) 탑재 완료된 강좌도 여전히 열려 있으므로, 수강을 시작하고 논평을 제출할 수 있다. 4) 특강은 출석이나 논평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들으면 된다. 이후 동일한 주제의 여러 특강이 모이면, 정규강좌로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 특강에 기재한 댓글도 향후 정규강좌의 출석으로 인정된다. 나. 조동일 교수 소개 1) 서울대학교에서 불문학과 국문학을 공부하고, 국문학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계명대학교, 영남대학교, 한국학대학원, 서울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2) 『한국문학통사』(전6권) 외에 『세계문학사의 전개』(2002), 『탈춤의 원리 신명풀이』(2006), 『동아시아문명론』(2010), 『학문론』(2012), 『문학사는 어디로』(2015), 『서정시 동서고금 모두 하나』(2016), 『시조의 넓이와 깊이』(2017), 『창조하는 학문의 길』(2019), 『동아시아문명의 심층 대등한 화합』(2020) 등 단독저서 80여 권이 있다. 3) 위 학문적 저술 외에 『山山水水 조동일화집』(2014), 『老巨樹展 조동일 화집』(2018) 등 화집을 출간하고, 몇 차례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4) 2020년 5월부터 〚조동일문화대학〛의 유튜브 강의를 시작하여 현재 여러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다. 진행 안내 *강의 프로그램 진행 및 관련 사항 낭독자는 이은숙입니다. *조동일 교수님 홈페이지 ‘조동일을 만납시다’(http://www.chodongil.x-y.net/)나 다음카페 ‘한국신명나라’ (http://cafe.daum.net/koreawonderland)에 가시면 조동일 교수님 저작과 강의에 관한 더 많은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카페에는 『창조주권론』과 『남불문화기행, 선진국의 허실』, 『문학사 탐색』 등 정규강좌와 특강의 강의별 유튜브 인터넷 주소가 게재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