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5.18 광주민주화운동.임을위한행진곡.한국어.홍콩 영어.대만 중국어.미얀마어.일본어 번안곡 민중가요._디스팩트 THIS FACT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디스팩트 THIS FACT.이것이 팩트다 정치인의 막말.정치인의 약속을 정리해주는 뉴스.디스팩트 막말,욕설이 사라지는 그날까지 노컷뉴스가 함께합니다.THIS FACT 약속,공약을 지키는 그날까지 노컷뉴스가 함께합니다.THIS FACT 디스팩트,THIS FACT,디스팩트뉴스,THIS FACT News,디스팩트TV,THIS FACT TV, 정치인 욕설,정치인 막말,정치인 공약,정치인 약속,정치인 말바꾸기,정치인 망언,지지율,관련주,테마주,정치,책,연설,유나이,자녀,군대,가족,공약집,학력,인스타 내용이 흥미로웠다면 '좋아요' '구독' '알림'을 눌러 주세요. 감사합니다. 윤석열 제창.5.18 광주민주화운동.임을위한행진곡.한국어.홍콩 영어.대만 중국어.미얀마어.일본어 번안곡 민중가요.과거 군부정권 VS 민주화 후 현재_민주평화광장 성공포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임을 위한 행진곡.한국어.영어.중국어.미얀마어 번안곡.과거와 현재_빅이슈TV 임을 위한 행진곡 1981년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97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2008년까지 5·18 기념식에서 제창돼 왔다. 1980년 5ㆍ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동하다 계엄군에 의해 희생된 고 윤상원 씨와 1979년 광주의 노동 현장에서 '들불야학'을 운영하다 사망한 노동운동가 고 박기순 씨의 영혼결혼식(1981년)에 헌정된 노래다. 소설가 황석영이 시민사회운동가 백기완의 옥중지 (묏비나리)의 일부를 차용해 가사를 썼고, 당시 전남대 재학생이던 김종률 씨가 작곡했다. ‘묏비나리’는 1979년 YWCA위장결혼식 사건의 주모자로 수감된 백기완 소장이 서울 서대문구치소에서 쓴 15장의 장편시다.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Marching for our Beloved.Korean.Hong Kong English. Taiwan Chinese.Myanmar. It's a popular song with a Japanese translation.Past military rule vs. Present Peace Square Success Forum after democratization 5.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March for the Beloved.Korean, English, Chinese.Myanmar's translation song.Past and Present_Big Issue TV March for the Beloved It was created in 1981 in Korea. "March for the Beloved" has been sung at the May 18 ceremony until 2008 after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Day was designated as a government anniversary in 1997. The song was dedicated to the soul wedding of Yoon Sang-won, who was killed by martial law forces while serving as a spokesman for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and Park Ki-soon, a labor activist who died while running Wild Night School in Gwangju in 1979. Novelist Hwang Seok-young borrowed some of the lyrics from civil society activist Baek Ki-wan's "Motbinari," and it was composed by Kim Jong-ryul, then a studen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otbinari" is a full-length poem written by director Baek Ki-wan at Seodaemun Detention Center in Seoul, who was imprisoned as the mastermind of the 1979 YWCA disguised wedding. 5.18 광주 민주화 운동.임을 위한 행진곡 5.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Marching for our Beloved 2014 홍콩 우산혁명.2014 Hong Kong Umbrella Revolution.Marching for our Beloved 2021 미얀마 민주화 운동.၂၀၂၁ မြန်မာနိုင်ငံဆန္ဒပြမှုများ.2021 Myanmar Protests.Marching for our Beloved 1979 대만 메이리다오(美麗島) 민주화운동.1979 Taiwan's Meidao Democratic Movement.Marching for our Beloved 1980.05.08~2021.05.08 민중항쟁 40년 후 대한민국 1980.05.08~2021.05.08 People's Uprising After 40 years KOREA 임을 위한 행진곡 Marching for our Beloved 백기완 작사 Lyrics by Baek Gi-wan 김종률 작곡 Composed by Kim Jong-ryul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We will leave no honors, no love, no fame.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We promised to keep working on, long as we shall live 동지는 간데없고 깃발만 나부껴 Dear comrades have gone; our flag still waves.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While working for days to come we will not be swayed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Streams and mountains remember though the years pass by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Waken’d spirits are calling us as they shout this cry: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We are marching on; keep faith n follow us.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We are marching on; keep faith n follow us. (일본어 가사) 彼らのための行進曲(君に捧げる行進曲) 【作詞】ペク・キワン 【作曲】キム・ジョンニュル 【訳詩】山の木竹志・山上茂典 愛も名誉も 名前も残さず ひたすらに生きると 誓った友よ 君が残した 熱い思いを この胸に刻み 歩き続ける 時は流れても 山河は知っている やがて目覚める うたごえひびく 今立ち上がり 私は進む さあ立ち上がり 共に行こう (全体を繰り返す) 今立ち上がり 私は進む さあ立ち上がり 共に行こう (중국 가사) 台灣勞動者戰歌 대만노동자전가 중국어 작사/편곡: 桃勤工會柯正隆 蔣金台 중국어 신가사: 竹縣產總女工合唱團 台灣的勞動者啊 不要再空等待 대만의 노동자여, 헛되이 기다리지 말아라. 為了我們的權益 勇敢地站出來 우리의 권익을 위해 용감히 일어서자. 不要有鴕鳥心態 也不做西瓜派 타조의 마음을 갖지 말고 수박처럼 하지도 말자 若想要怎麼收穫 就先要怎麼栽 무엇이라도 거두려 한다면 먼저 길러야 한다. 反抗壓迫求生存 退縮不應該 압박에 맞서서 생존을 구하고 물러서지 말자. 消滅剝削爭平等 怒潮正澎湃 착취를 없애고 평등을 쟁취하자. 세찬 기세가 솟구친다. 團結不怕失敗 直到敵人垮台 적이 무너질 때까지 실패를 두려워 말고 단결하자. 戰鬥的種子灌溉 勝利的花兒開 싸움의 씨에 물을 주자. 승리의 꽃이 피도록. (광동어(홍콩)) 爱的征战 从来没有欢呼声加冕 勤劳未可得到幸福 浮沉在社会底处 历尽了压迫心不死 埋藏在我心中的激愤 犹如睡醒的母狮 同行在抗争的火线 命运已紧紧结连 作战同往这一刻 青山海与天 在世界花上这一笔 欢呼响震天 此生纵使不可见 愿他朝有后继者 劳动者终要自主 成仁见青史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동하다 계엄군에 의해 희생된 고 윤상원 씨와 1979년 광주의 노동 현장에서 '들불야학'을 운영하다 사망한 노동운동가 고 박기순 씨의 영혼결혼식(1981년)에 헌정된 노래다. 처음에는 '님을 위한 행진곡'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통상 '임을 위한 행진곡'이라고 부른다. 소설가 황석영이 시민사회운동가 백기완의 옥중지 '묏비나리'의 일부를 차용해 가사를 썼고, 당시 전남대 재학생이던 김종률 씨가 작곡했다. ‘묏비나리’는 1979년 YWCA위장결혼식 사건의 주모자로 수감된 백기완 소장이 서울 서대문구치소에서 쓴 15장의 장편시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97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2008년까지 5·18 기념식에서 제창돼 왔다. 그러나 2009년 이명박 정권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식순에서 제외시키고 식전 행사에서 합창단이 부르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에 반발한 광주 5·18 유가족회를 포함한 시민단체들은 광주 금남로에서 별도의 5·18 기념식을 열었다. 이후 야당 및 5·18단체는 본 행사 식순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반영해 제창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 이에 2011년부터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본 행사에 포함됐으나,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만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경돼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됐다. 그러다 2017년 5월 10일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틀만인 5월 12일 ‘업무 2호 지시’로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서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지시했다. 그리고 2017년 5·18 기념식에서는 2008년 이후 9년 만에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됐다. 윤석열 대통령도 광주를 방문해 5.18 광주민주화 운동을 기리기 위해 임을위한 행진곡을 제창 한다고 합니다. 내용이 흥미로웠다면 '좋아요'' '구독' '알림'을 눌러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