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한국의 단색화 - 흰색의 의미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한국 단색화 회화에 대한 이해 오광수 삼국유사 그런 책에서도 과거 문헌에서도 한국 사람들은 원래 흰색을 좋아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흰색은 태양하고의 관계가 있습니다. 태양하고 관계가 깊은 민족일수록 흰옷을 입는 그런 것이 많이 나타납니다. 흰색이라는 것이 색의 개념이 아니죠. 그런 것이 현대 회화로서 다시 새롭게 탄생된 것이 단색파 흰색파라는 것입니다. 김미경 단순히 모노크롬으로서의 흰색이 아니라 정신성을 갖고 있는 햇빛 같은 흰색. 백자가 가지고 있는 흰색. 굉장히 여러 톤을 가지고 있는 동시적인 흰색을 어떤 용어로 일본의 시로라는 말로 표현할 수가 없으니까 그냥 한국어로서의 흰색구라고 표현했었던 것이고 그 흰색구라는 말 속에는 단순히 희다라는 색이 아니라 햇빛과 같은 흰색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색깔, 정신성, 우주성 이런 것들이 전부 포괄되어 있는 굉장히 포괄적인 정신적 차원에서의 흰색이었던 거예요.... 서성록 일본미술과 단색화의 차이점인데, 우리나라 단색화는 굉장히 자연스럽습니다. 편안하거든요. 자연스럽다는 말이 중요한데. 인위성을 조금 배재하고 왜냐면 그림 하면 작가가 어떤 조형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만들어 가면서 자기의 자기성 인위성 기법 꾸밈 이런 게 들어가는데 단색화는 그런 게 없습니다. 꾸밈과 인위성 보다는 그 대상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는 그런 어떤 자연 존중 혹은 어떤 자연동화에 어떤 생각 같은 걸 우리가 읽어 볼 수가 있겠습니다. -인터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