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YTN 사이언스] 방사선 이용해 새 쌀 품종 개발 / YTN 사이언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YTN 사이언스] 방사선 이용해 새 쌀 품종 개발 [앵커] 쌀을 비롯한 작물에 방사선을 쪼여 새 품종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합니다. 방사선 육종 기술인데요.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부가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육종연구실 강시용 책임연구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방사선 육종 기술이 무엇인가요? [인터뷰] 새로운 품종이나 유전자를 만드는 육종 방법의 하나인데요. 방사선을 식물의 종자나 식물 조직에 쪼여서 자체 유전자를 변화시켜서 자손에 유용한 돌연변이체를 선발해서 육종하는 방법으로 돌연변이 육종 기술이라고도 합니다. 돌연변이는 자연상태에서도 환경적인 영향이나 자체 유전자 복제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 자연 돌연변이는 아주 느리게 낮은 확률로 일어나므로 저희는 방사선을 이용해서 단시간에 식물체에 변이를 잘 일으키게 해서 육종하는 그런 기술입니다. 육종방법 중에는 주로 많이 육종되는 것이 교배육종, 교잡육종이라 불리고 있는데요. 이것은 같은 작물 내에서 다른 품종끼리 인위적으로 수정해서 잡종을 만들어 후대에 유용한 형질을 선발해서 육종하는 방법이고요. 최근에 많이 논란이 되는 유전자 변형작물, GMO라고 하는 것은 다른 종의 유전자를 1, 2개를 생명공학적인 방법으로 추출해서 생명공학적인 기술로 도입해 변이를 발생시켜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의 경우 자연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미생물이나 동물 유전자를 식물에 넣어서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인데요. 저희가 하는 방사선 육종 기술은 위의 두 기술과는 개념이나 기술이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앵커] 방사선 육종 기술로 종자가 개발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린다고 들었습니다. 연구 과정이 궁금한데요. [인터뷰] 교배육종이나 GMO도 마찬가지인데요. 육종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벼의 경우 저희가 연구를 시작해서 품종이 등록되어 보급되기까지는 한 10년 정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벼에 방사선을 쪼이게 하면 당대가 아닌 손자대, 그러니까 2세대부터 변이가 발생하는데요. 변이체를 선발하고도 5, 6세대까지는 계속 특성 검정을 거치면서 우수한 변이 계통을 반복적으로 선발하고요. 이러한 특성 검정을 선발한 다음에 농업적으로 수량성이 뛰어나거나 어느 쪽에 적합 한다든지 이런 것을 시험을 거친 다음에 최종적으로 선발...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