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유물의 진짜 이름 찾아주자!! | 이 유물이 석조(石槽)가 아닌 이유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국립부여박물관 로비에는 부여석조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부여석조는 그 용도가 명칭에서와 같이 '석조', 혹은 '석연지'라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를 목적으로 제작되었다기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그런데 최근 부여석조의 용도 혹은 제작 목적이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다는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살펴본 영상입니다. 귀한 시간 내어 영상을 시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부여석조 #백제 #부처 #불교 | 참고 자료 | 1. 조선총독부, 1916, 『조선고적도보』3 2. 옥선희, 1981, 「한국 石槽에 관한 一考」, 『동국사상』 13. 3. 충남대학교박물관, 1985, 『부여관북리백제유적발굴보고서』 1. 4.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9, 『충남지역의 문화유산-3, 부여군편』. 5. 국립부여박물관, 2009, 『부여박물관의 발자취』. 6. 하일식, 2019,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연 구』,93. 7. 한정호, 2020, 「백제 석조의 성격과 미륵신앙」,『미술사학연구』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