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이정미 대행 퇴임…헌재 ‘7인 재판관 체제’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멘트 사상 첫 대통령 파면 결정을 선고했던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6년 임기를 마치고 오늘(13일) 퇴임식을 가졌습니다. 헌법재판소는 당분간 '7인 재판관 체제'로 운영되는데, 일각에서 자칫 심판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손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퇴임 전 마지막 출근한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취재진에 가볍게 인사를 건넸습니다. 녹취 이정미(소장권한대행) : "고생하셨습니다." 소장 권한대행으로 탄핵 심판을 이끌었던 이 대행은 오전에 열린 퇴임식에 참석해 소회를 밝혔습니다. 녹취 이정미(헌재소장 권한대행) : "참으로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을 하였습니다. 이 진통의 아픔이 클지라도 헌법과 법치를 통해 더 성숙한 민주국가로 나아갈 수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현재 헌재에 계류된 사건은 종교적 이유로 병역을 거부한 사람을 처벌하는 현행 병역법의 위헌 여부를 따지는 헌법소원 등 840여 건입니다. 업무가 산적한 상황에서 헌재는 내일부터 당장 김이수 재판관을 소장 권한대행으로 한 '7명 재판관 체제'로 운영됩니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7인 재판관 체제에서는 심판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2명만 반대 의견을 내도 이 의견이 채택되기 때문입니다. 양승태 대법원장이 이정미 재판관 후임으로 이선애 변호사를 지명했지만 정상 임명될지는 미지숩니다. 각 정당들이 사실상 대선 체제로 전환된 상황에서 국회가 인사청문 절차를 밟을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인사청문회를 거친다 해도 대통령 권한대행이 임명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를 놓고도 해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서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