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이슈플러스] ‘도미노 위기’ 유통업계…폐업·법정관리 확산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앵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이른바 ‘3고’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유통업계가 침체 수렁에 빠졌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은 줄줄이 폐업하고, 대형마트마저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유통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는데요. 산업2부 이혜연 기자와 상황 짚어보죠.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최근 유통업계 전반에서 폐업과 법정관리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것 같은데요. 왜 그런 건가요. [기자] 앞서 말씀하신대로 고물가·고환율·고금리, 이른바 ‘3고’ 상황이 길어지면서 소비자들의 지갑이 꽁꽁 닫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코로나19 이후 재무구조가 허약해진 상황에서 더는 버티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속출하게 되면서, 유통업계는 이러한 복합적 위기 속 실적에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특히 온라인 업계는 경쟁 심화, C커머스의 국내 진출 등 악재가 겹치면서 많은 업체들이 생존 자체를 걱정할 상황에 놓였는데요. 지난해 7월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로 약 53만명이 1조5000억원의 피해를 입었던 사건을 시작으로, 최근 1300k(천삼백케이), 바보사랑, 알렛츠 등 온라인 쇼핑몰들이 잇달아 문을 닫았습니다. 오프라인도 마찬가지 분위긴데요. 지난달에는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가 유동성 위기를 이기지 못하고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고요. 명품 플랫폼 발란도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를 이기지 못하고 법정관리에 들어갔습니다. 상품을 유통해 판매하는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에서 시작된 이런 흐름은 내수를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체와 물류 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모습입니다. [앵커] 앞으로 유통업계 전반에 걸쳐 ‘도미노 위기’가 확산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는 것 같은데요. [기자] 네, 맞습니다. 산업계 전반에서 ‘내수산업 도미노 위기’는 더 빨라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최근 물류업체 팀프레시도 4년 사이 1000억원이 넘는 누적 영업손실이 쌓이는 등 자금난으로 새벽배송을 일시 중단하면서 업계의 불안감은 더욱 커졌는데요.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유통산업 전망에 따르면, 올해 소매시장 성장률은 고작 0.4%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 이후 최저 수치입니다. 그래서 지금 기업들은 ‘생존 모드’에 들어갔다고 봐도 무방한 상태인데요. 애경그룹의 경우 지주사 AK홀딩스가 지난해 말 기준 총부채 4조원, 부채비율 328%를 기록한 가운데, 모태 계열사 매각을 검토하고 있고요. 롯데그룹은 지난해 말 ‘유동성 위기설’에 직면하며 비핵심 사업과 자산을 정리하는 방향으로 사업구조 개편에 나섰고, 롯데마트·11번가 등은 희망퇴직을 단행했습니다. 이처럼 단기적 유동성 확보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사업 모델 재편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 유통업계 전반에 걸친 유동성 우려를 해결할 방법이 있을까요. [기자] 향후 전망이 밝지 않다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인구 감소가 지속되면서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유통업체들의 설 자리가 갈수록 좁아지는 추세고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국내 경제성장률 예상치가 크게 밑돌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유통업계는 우선 해결될 과제로 각종 규제 개선을 꼽고 있는데요. 특히 대규모유통업법이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출점 규제, 의무휴업, 영업시간 제한 등을 뼈대로 하는데, 이미 유통시장의 대세가 온라인으로 넘어온 만큼 시대에 뒤처졌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밖에도 국가 콘트롤타워가 하루빨리 재가동해 내수경기 침체 해결, 유통업 내 위기 확산 방지 등 업계 재편과 구조조정 작업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앵커] 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자] 네, 감사합니다. /[email protected] [영상편집 이한얼] ★전국 어디서나 같은 채널번호!! ★ SKY Life _ Ch.156 │ Genie tv _ Ch. 184 │ SK Btv _ Ch. 156 │ U+ tv _ Ch. 167 홈페이지 : http://www.sentv.co.kr/ 네이버TV : https://tv.naver.com/sen 카카오TV : https://bit.ly/2mlu4uU ★서울경제TV 유튜브 채널 서울경제TV : https://bit.ly/2FsQnHw 서울경제TV VOD : https://bit.ly/2RPZiZ9 서울경제TV 재테크 : / @sentvfocu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