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건축왕’과 ‘빌라왕’ 차이는? / KBS 2023.04.25.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최근 발생한 전세 사기 사건의 핵심에는 '건축왕', '빌라왕'이라 불리는 집주인들이 있습니다. 수천 채에 달하는 주택을 이용해 전세 사기를 일으킨 만큼 피해자들이 구제받을 방법도 다양하고 복잡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두 사건의 피해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이지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 미추홀구에서 전세 사기를 일으킨 '건축왕', 2천7백여 세대가 피해를 봤습니다. 서울 강서구 '빌라왕'으로 인한 피해 천백 세대가 넘습니다. 보증금을 못 돌려받는 상황은 비슷하지만 이처럼 수천 채의 집을 소유하게 된 과정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인천 미추홀구에선 직접 건물을 지은 뒤 이 집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리고 세입자도 받았습니다. 이렇게 받은 대출금과 전세보증금은 또 다른 건물을 짓는데 썼습니다. 건축왕이라고 불리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서울 강서구 피해 사례는 집값과 비슷하거나 높은 가격에 피해자들과 전세계약을 맺은 뒤 보증금을 활용해 또 다른 집들을 사들였습니다. 일명 무자본 갭투자 수법. 이러다 보니 금융사와의 채권 관계는 없습니다. 성격이 다른 만큼 피해자들이 원하는 지원 방식도 차이가 있습니다. 인천 미추홀구에선 피해 주택에 대출이 끼어 있어 이 집을 경매로 넘겨 팔아도 그 돈을 선 순위 채권자인 금융회사가 갖게 됩니다. 전세보증금이 피해자들에게 돌아가기 어려운 구조라는 뜻인데요. 피해자들이 경매중단을 요구하는 배경입니다. 강서구 사례는 금융사 대출이 없어서 오히려 경매에서 집을 처분하는 것이 보증금 일부라도 건질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이들은 우선 낙찰권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피해 유형과 정도는 다르지만 피해자들은 한목소리로 맞춤형 대책과 후속 입법을 서둘러 진행해 달라고 입을 모읍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전세사기 #건축왕 #빌라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