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스타트경제] 트럼프 "보복 안 하면 90일 관세 유예"...나스닥 12% 급등 / YTN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이정환 교수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매일매일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즉흥적인 관세 결정에 시장에 울고 웃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스타트경제, 오늘은 이정환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와 함께하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교수님. 국가적인 정책이 이렇게까지 즉흥적으로 결정되고 이렇게까지 자주 바뀌는 것은 앞으로도 과거에도 볼 수 없는 모습이 아닐까 싶어요. 90일 동안 관세를 유예하겠다. 발언 취지는 어떻게 보셨습니까? [이정환] 사실은 지난주 목요일날 제가 이 시간에 와서 이야기를 했는데 그때 상호관세랑 보편관세를 이야기하면서 관세율이 예측보다 높게 올라갔다는 얘기를 했고 그 시장의 충격이 어마어마했죠. 나스닥 지수가 1만 5000까지 내려갈 정도로 이 어마어마한 충격이 오다 보니까 글로벌 불황이 오는 것이 아니냐라는 우려가 있었고 이런 것들을 아무래도 미국이 걱정할 수밖에 없거든요. 또 미국은 국민들이 연금이 많고 연금들이 다 주식시장에 얽혀 있기 때문에 미국의 증시를 하락하는 게 노후자금의 문제, 향후 미래에 대한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굉장히 주의해야 될 일이고요. 그렇기 때문에 관리를 많이 하는 편인데 이렇게 너무 빠지니까 어쩔 수 없이 지금 미국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90일간 상호관세, 높게 측정했던 관세를 유예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이것을 10%, 보편관세는 유지하지만 우리가 상호 간에 부가가치세라든지 다른 여러 가지 관세 제약들에 대해서 부과했던 상호관세 부분에 대해서는 90일간 유예를 하고 협상을 하겠다는 이야기를 밝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배경은 그게 합리적으로 의심이 되는데 미국 쪽에서 나오는 것은 이렇게 될 줄 다 알고 있었다, 그래서 주가 급락 때문에 그런 것 아니고 다 협상할 시간을 주려는 거다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믿어지십니까? [이정환] 협상할 시간을 주려고 했으면 지난주 목요일에 그 시간에 90일간 협상할 시간은 주고 메시지도 그렇죠. 협상을 하면서 내릴 수 있다는 그런 것들을 강조했어야 하는데 그렇다기보다는 굉장히 강경한 자세를 취했죠. 협상은 없다라는 자세를 계속 취했고 일주일 만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어마어마한 협박 아닌 협박을 했기 때문에 사실 시장에서 믿기는 어렵다라고 아마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어찌됐건 우리로서는 걱정을 많이 했었는데 한시름 던 셈입니다. 걱정했던 부분들이 어떻게 해소가 됐고 또 앞으로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이정환] 걱정했던 부분은 관세 자체가 올라가는 것 하나가 있고 두 번째로 관세 때문에 미국 경기가 침체되는 것, 이런 두 가지 요소가 다 있었는데 일단 관세가 유예됐다는 얘기는 협상의 여지가 분명히 뒀다는 측면에서, 이게 결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가장 큰 문제는 정책에 있어서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라는 이야기가 있거든요.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이야기는 지난주만 해도 관세를 강력하게 어떤 협상은 거의 임하지 않을 것처럼 하는 분위기였다가 이번 주가 되니까 이번 주도 아니고 오늘이 되니까 관세를 좀 유연하게 해 주겠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 불확실성은 어떻게 보자면 관세 유예를 통해서 협상이 가능한 쪽으로 유도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느냐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