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대안연구공동체 | 공개강의] 아도르노 '미학이론' 강독 1강 | 문병호 교수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줌 강의중 화상 회의 참석자 목록의 개별 영상을 잘라 편집한 영상이라 화면이 매우 거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실제 강의의 화질은 양호한 점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도르노의 미완성 저작인 『미학이론』은 보편사상가 아도르노 사유의 정점을 보여 주는 책으로 서구 미학·예술 이론사에서 최고의 학문적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책에는 플라톤 이후의 서양 철학에서 호메로스 이후의 서양 문학, 고대 희랍 이후의 서양 회화와 조각, 바흐 이후의 서양 음악, 콩트 이후의 사회학, 프로이트 심리학에 이르까지 두루 통달한 아도르노의 사유가 퇴적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아도르노가 자신의 모든 학문적 역량을 모두 투입한 책이 바로 『미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책은 극도로 난해해서 전문학자들조차 읽어내기 어렵습니다. 하버마스도 1989년 이 책에 대해 세미나를 개설하며 “이 책이 20세기에 나온 가장 어려운 책”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미학이론』에는 예술, 역사, 철학, 사회, 문명, 문화에 대한 아도르노의 심원한 사상이 다층적, 다의적, 다차원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미학이론』은 미학·예술이론이지만 동시에 역사철학이고 인식론이며 사회이론이기도 합니다. 아도르노 사상을 전반적으로 이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책을 읽기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 수업에서 문병호 선생님은 이 책의 문장, 문장마다에 농축되어 있는 예술에 대한 아도르노의 치열한 사유를 그의 역사철학, 인식론, 사회이론, 예술작품 등과 관련해 강독할 계획입니다. 『미학이론』을 여러 차례 정독하면 예술, 역사, 사회, 철학, 문명, 문화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인식을 얻게 될 것이며 예술적 인식, 예술적 비판, 예술적 계몽, 예술과 교육, 예술과 윤리 등도 여타 예술이론서와는 차원이 다른 것들을 공부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미학이론』에서 미메시스, 미메시스적 충동, 예술의 수수께끼적인 성격, 예술적 합리성, 구성, 재료, 정신화, 객체화, 개념 없는 인식, 인식의 유토피아, 판단 없는 종합, 폭력이 없는 화해 등 새로운 개념들을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미학 이론』은 또한 현대 예술을 이해하는 데도 가장 중요한 이론서입니다. 현대 예술에 특징적인 충격, 추함, 병적 혐오감, 어두움, 괴기스러움, 수수께끼적인 성격, 공포, 전율, 고통, 불안, 불안정, 낯설게 하기, 소외, 부조리, 부조화, 불협화음과 같은 현상들이나 의식의 흐름과 같은 새로운 서술 기법, 12음과 같은 새로운 음계 등이 『미학이론』에 이르러 비로소 그 본질이 규명되고 있습니다. 강독 텍스트는 문병호 선생님이 직접 번역한 것을 사용합니다. 참여자에게는 매 강의마다 선생님의 번역 텍스트가 제공됩니다. 이 강독은 대안연에서의 오프라인 수업과 줌을 통한 온라인 수업을 병행합니다. ◈ 강의 : 문병호 교수 ◈ 일시 : 1월15일(토)부터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오후 1시(10강) - 이 강독은 10강씩 끊어가며 계속됩니다. ◈ 강독 내용 매주 한국어 번역본 기준으로 7~10쪽을 면밀하게 강독하며 독해에 필요한 배경지식과 이론을 보완설명합니다. ◈ 텍스트 1) 테오도르 아도르노, 『미학이론』, 문병호 선생님의 번역원고를 사용함 2) 참고문헌, 문병호 『아도르노의 사회 이론과 예술 이론』(문학과 지성사, 1993, 2001). 『비판과 화해』(철학과 현실사, 2006) ◈ 문병호 선생님은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독문예학, 사회학, 철학을 전공하였고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철학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대학원과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여대에서 강의하였으며 광주여자대학교 문화정보학과 교수와 연세대학교 인문한국(HK) 교수로 일하였다. 현재는 아도르노 저작 간행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아도르노 저작의 번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사회비판과 문명비판에 관련된 연구 및 저서 집필을 병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변증법적 예술이론의 현재적 의미」,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 「문화산업과 문화의 화해를 위하여」등 20여 편이 있으며, 저서로는 『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1993, 2001), 『서정시와 문명비판』(1995), 『비판과 화해』(2006), 『문화산업시대의 문화예술교육』(2007), 『바퀴와 속도의 문명사』(2008, 공저), 『왜 우리에게 불의와 불행이 반복되는가 –관리된 개별 인간과 예외 상태로서의 권력관계』(2015), 『한국 사회 정의 바로 세우기』(공저, 2015), 『정보혁명, 정보혁명 시대, 문화와 생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다』(공저, 2017, 2018년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접속·혼종·창의』(2017, 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아도르노의 『신음악의 철학』(2012, 공역), 『미학 강의 I』(2014), 『사회학 강의』(2014), 『베토벤. 음악의 철학』(2014, 공역, 2016년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사회학 논문집 I』(2017, 2018년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이 있다. 안내: [강좌]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미학이론 강독을 시작합니다 https://cafe.naver.com/paideia21/14306 타이틀 이미지 출처: https://www.flickr.com/photos/espinos... 타이틀 음원: Busy City - TrackT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