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동명스님의 불교기본교육] 십바라밀, 사무량심, 사섭법, 보현행원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동명스님의 불교기본교육 십바라밀, 사무량심, 사섭법, 보현행원 행복해지려면 '나'를 죽여라! 십바라밀 (7) 방편(方便) : 산스크리트어 upāya-paramita. 근본적인 깨 달음으로 이끌어가기 위해 설정한 뛰어난 방법을 말한다. 대상에 접근하거나 방법을 설정하거나, 내용을 안배하는 등의 기교에 있어서 뛰어난 것을 말한다. (8) 원(願) : 범어 praṇidhāna-pāramitā. 중생을 구제하려는 완전한 원(願)을 성취함. 원(願)의 완성. (9) 힘(力) : 범어 bala-pāramitā. 바르게 판단하고 수행하는 완전한 힘을 성취함. (10) 지(智): 범어 jñāna-pāramitā.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완전한 지혜를 성취함. 사섭법 ▶ 사섭법(四攝法) :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고 섭수(攝受)하는 4가지 진리 ‘섭(攝)’ : 모든 중생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화합하고 어우러지는 것 ㆍ보시섭(布施攝) : 아낌없이 베풀고 나눔으로써 대중을 포섭 ㆍ애어섭(愛語攝) :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말로 대중을 포섭 ㆍ이행섭(利行攝) : 많은 사람의 이익을 도모함으로써 대중을 포섭 → 공동체 모든 구성원에게 이익을 줌 ㆍ동사섭(同事攝) : 함께 일하고 함께 어우러짐으로써 대중을 포섭 ▶ 가족, 직장, 마을 모든 공동체가 사섭법을 실천 ㆍ그 공동체는 나날이 발전, 행복, 즐거움 가득 사무량심 ‘사무량심(四無量心) : 네 가지 한량없는 마음 ㆍ자(慈)무량심 : 자애(慈愛)로운 마음이 한량없음 ㆍ비(悲)무량심 : 연민하는 마음이 한량없음 ㆍ희(喜)무량심 : 기뻐하는 마음이 한량없음 ㆍ사(捨)무량심 : 평정심과 공평무사한 마음이 한량없음 → 편견과 차별을 떠나 있음 ▶ 사무량심의 실천방법 ㆍ대상에 따라 차별하는 마음을 가지면 안됨 ㆍ나 자신 → 가족 → 이웃 → 온 세상으로 범위를 넓혀가면서 실천 크나큰 행원의 바다, 보현행원 ▶ 53선지식 중 한분인 보현보살이 선재동자에게 당부한 10가지 실천 ㆍ첫째, 예경제불원(禮敬諸佛願) : 언제 어디서나 부처님을 공경 ㆍ둘째, 칭찬여래원(稱讚如來願) : 부처님이 쌓아온 공덕을 찬탄 ㆍ셋째, 광수공양원(廣修供養願) : 부처님께 두루 공양 올림 ㆍ넷째, 참제업장원(懺除業障願) : 악업과 업장 참회 ㆍ다섯째, 수희공덕원(隨喜功德願) : 공덕을 함께 기뻐함 ㆍ여섯째, 청전법륜원(請轉法輪願) : 법을 전하고 설법해 주실 것을 청함 ㆍ일곱째, 청불세주원(請佛世住願) : 부처님이 세상에 오래 머물러주실 것을 청함 ㆍ여덟째, 상수불학원(常修佛學願) : 언제나 부처님처럼 행동하고 부처님을 배움 ㆍ아홉째, 항순중생원(恒順衆生願) : 언제나 이웃을 위해 일하고 이웃과 함께 함 ㆍ열째, 보개회향원(普皆廻向願) : 모든 공덕을 세상에 회향 ▶ 보현행원을 실천하는 길 → 불보살로 살아가는 것 보현행원의 일상 속 구현 (1) 누구를 만나든 먼저 인사하겠습니다. (2) 가급적 칭찬하겠습니다. (3)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보시하겠습니다. (4) 먼저 사과하겠습니다. (5) 남이 잘되면 질투하지 않고 진심으로 축하하겠습니다. (6) 남의 말을 잘 경청하겠습니다. (7) 살아 있는 생명이 오래 살 수 있도록 방생하겠습니다. (8) 가르치기보다는 배우는 자세로 살겠습니다. (9) 누구든 귀하게 대하고 평등하게 대하겠습니다. (10) 내가 지은 공덕의 대가를 바라지 않겠습니다. 사홍서원 ▶ 사홍서원 ㆍ중생을 다 건지오리다(衆生無邊誓願度) ㆍ번뇌를 다 끊으오리다(煩惱無盡誓願斷) ㆍ법문을 다 배우오리다(法門無量誓願學) ㆍ불도를 다 이루오리다(佛道無上誓願成) ▶ 우리들은 이 사홍서원 외에 별원으로 각자의 원을 지녀야 함 ㆍ나 자신의 원/가족을 위한 원/사회를 위한 원 결론을 대신하여 불교를 통해 행복해질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집니다. 불교는 희생만 강조하는 종교가 아닙니다. 스스로의 행복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남도 사랑하는 것이 보살의 마음입니다. 자기 자신을 위해 남을 위한 보살행도 하는 것입니다. 보살행은 나에게 큰 이익이 됩니다. 현대인에게 꼭 맞는 보살행, 보현행원을 일상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확인합니다. 네이버 밴드 생활불교 https://band.us/@ratana #십바라밀 #사무량심 #사섭법 #보현행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