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무엇이 불교인가?] 제2부 불교와 인도철학, 제9강: 불교 흥륭시대1, 불교의 정신과 호불왕 아쇼카왕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무엇이_불교인가 #불교흥륭시대 #아쇼카왕 #김성구교수 불교가 인도 땅에 존속하던 1,800년 가운데 특별히 불교의 흥륭시대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왕 (304-232BCE.)때부터 나가르주나 (Nāgārjuna, CE.150-250) 때까지 라고 볼 수 있다. 불교는 새로운 사상으로 인도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바라문교의 신분사회에 예외적으로 여성과 수드라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였다. 불살생을 가르침으로써 동물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주었고, 이는 나중에 힌두교에서 공희(供犧)를 반대하고 상징적인 제물을 바치고 육식을 금하게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절대적 존재에게 제사, 주문, 기도를 드리는 의식이 주를 이루는 종교생활에서, 스스로 수행을 통해 인격의 완성을 이루고, 깨달음을 얻는 쪽으로 종교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불교는 깊고 체계적인 철학으로 인도 지식인들에게 지적 자극을 주었고, 열린 교육을 함으로써 문화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불교 흥륭기를 이끈 아쇼카왕은 마우리아 제국의 3대 황제이다. 불멸 후 200년 경에 즉위한 아쇼카왕(Ashoka Maurya, 재위기간 268~232BCE)은 국정에 부처님의 가르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고 불교를 포교하기 위해 외국에 전법사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불교에 귀의한 후로 아쇼카는 침략을 그만두고 공공사업을 후원하고 민생을 돌보았다. 뿐만아니라 가축도살, 수렵을 금지하고, 대신에 불교 유적을 참배하고 불탑을 세우고 승려들을 스리랑카 등 이웃 나라로 보내 불교 선교에도 힘을 썼다. 오늘날 남방 상좌부 불교의 기원은 아쇼카왕이 그의 아들 마힌다 장로를 스리랑카에 파견하여 불법을 전한 것에서 부터 시작한다. 아쇼카는 ‘법에 의한 통치'를 하겠다.’ 는 선언과 함께 일반 백성이 지켜야 하는 법칙을 공포하여 암벽이나 석주에 새기게 하였다. 이 석주에 의해 석가모니가 실존인물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아쇼카왕의 석주에 쓰인 불교의 관용정신은 앞으로 물질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더욱 빛을 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