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주택경기 침체 지속, 국내 건설사 이대로 괜찮은가? I 자막뉴스 I e런 뉴스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현대건설과 GS건설 등 주요 건설업체들의 실적이 2월 초까지 모두 발표되었습니다.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은 각각 영업이익 8,750억 원, 7,600억 원을 달성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는데요. 국내 주택 비중이 10%밖에 안 되는 삼성물산은 2조 4천억 원 규모의 미국 테일러 반도체 공장과 8천억 원 규모의 카타르 태양광발전소 등을 수주한 해외사업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습니다. 대우건설은 국내 주택 비중이 52%로 높지만, 4분기 베트남 하노이 떠이호떠이 신도시 개발사업이 호조였고, 이라크와 나이지리아 등에서 토목, 플랜트 사업도 본격화되며 호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국내 주택경기 침체와 원가율 상승의 피해를 고스란히 받은 곳도 있습니다. DL이앤씨는 영업이익이 반토막이 났고, 현대건설과 GS건설도 각각 -22%, -14%를 기록하며 부진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동산경기가 꺾이고, 9월 강원도의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이 급격하게 위축되었습니다. 이는 심각한 유동성 위기로 번지면서 7월과 8월 0.01~0.02%였던 어음부도율이 9월 0.26%, 10월 0.20%로 급증하며, 기업 어음부도율이 2018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아졌습니다. 이후 정부는 50조 원, 5대 금융지주가 95조 원, 한국은행이 35조 원 이상을 시장에 투입하며 급한 불을 막으려 노력 중이고, 전매제한 완화,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해제 등의 내용이 포함된 1.3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건설사들의 유동성 리스크는 어느 정도 잠잠해진 상황입니다. 하지만 최근 대우건설이 울산 주상복합 개발사업의 시공권을 포기하는 사태가 있었는데요. 금리 인상으로 브릿지론 금리가 크게 올랐고, 미분양도 증가하면서 향후 자금 회수가 어려워질 것으로 판단해 선제적으로 리스크관리를 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한 부동산 PF 관계자는 “시공 능력 평가 6위에 이르는 대우건설이 이렇게 한다면 그 아래에 있는 건설사들은 어떻겠냐, 지금 지방 사업장이 얼마나 미분양 리스크를 떠안고 있는지를 다시 한번 각인시킨 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렇듯 건설업종 투자 환경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인데요. 유동성 및 미분양 리스크를 안고 있는 국내 주택시장에서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해외 시장에서의 뚜렷한 수주 모멘텀을 가지고 있는 건설사를 선별하여 투자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e런 뉴스' 였습니다.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