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대안연구공동체 | 공개강의] 게오로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역사와 계급의식》 1강 | 문병호 교수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문병호 선생님이 비판철학 교실의 세션을 이어가며 게오르크 루카치의 명저 《소설의 이론》와 《역사와 계급의식》을 읽습니다. 책을 시작하는 문장으로도 잘 알려진 《소설의 이론》은 소설의 형식과 역사의 내적 연관성을 중시하는 소설론의 초석을 놓으며 20세기 이후 서구 사상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루카치의 대표작입니다. 도스토예프스키를 다루는 본격적인 저작의 준비과정에서 나온 책이면서도 문학론과 미학, 철학과 정치사상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방대하고도 깊은 사유로 일찌감치 고전의 반열에 올랐지요. 《역사와 계급의식》은 혁명적 공산주의자로 삶과 세계관을 바꾼 뒤 매진한 마르크스주의 연구와 정치적 실전 경험이 녹아있는 논문 모음집으로 그에게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창시자’라는 이름을 부여한 책입니다. 제2인터내셔널의 수정주의를 거부하고 러시아 혁명 이후의 상황과 마르크스주의를 일치시켜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나온 책은, 출간 당시까지 경제이론 정도로 치부되던 마르크스주의에 철학적 지위를 부여하고 이를 유럽 사상사의 중심으로 끌어들인 책이기도 합니다.. 문병호 철학교실에서는 칸트와 헤겔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구에서 전개된 역동적이고 비판적인 사유를 원전(번역본)을 읽으면서 공부합니다. 선택된 원전은 철학, 사회학, 문학의 영역에서 세기의 고전 반열에 오른 책으로, 오늘날 인류에게 비판적 사유의 근원이 되는 책입니다. 지난해 7월 초 시작된 강의에서는 지금까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서문’, 《정신현상학》의 ‘서문’, 마르크스의 《경제학-철학 초고》, 니체의 《도덕의 계보학》, 게오르크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등을 읽으며 이 사상가들의 비판적 사유를 공부했습니다. 이 교실의 공부는 비판적 사유라는 점에서 연속성이 있으면서도 각 사상가별 강의는 독립적입니다. 따라서 이전 세션의 참여하지 않았던 분들도 각자의 학문적 관심에 따라 얼마든지 이후의 강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문병호 철학교실》에서 앞으로 공부할 책은 제1세션 공지를 참고하십시오. https://cafe.naver.com/paideia21/13780 제1세션 공지에서 읽기로 계획한 저작은 사정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강독 시간은 계획보다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모처럼 공부하는 김에 보다 자세히, 보다 본격적으로 공부하자는 참여자의 희망에 따른 것입니다. 이 강의를 계속 수강해 온 분들은 대부분 “노학자로서의 자연 연령에도 불구하고 회를 거듭할수록 확연히 무르익어가는 문병호 선생님의 강의가 놀랍다”고 말합니다. 기왕 이 강의를 들어온 분들이 지인들에게 소개해 수강하는 분들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를 친구에게 알리는 분도 훌륭하시거니와 친구의 소개를 받고 좋은 강의에 오시는 분도 매우 훌륭한 분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 맞춰 선생님도 강의에 더욱 신바람을 내고 있습니다. 이 교실은 대안연 현장 강의와 줌을 통한 온라인 강의를 병행합니다. ◈ 강의 및 학문지도 : 문병호 ◈ 개강 : 5월 27일(금)부터 매주 금요일 오후 7시~9시(10강) 지금까지 매주 화요일에 진행하던 강의를 매주 금요일로 변경합니다. 10강씩 끊어가며 강의를 계속 이어갑니다. ◈ 대상 칸트, 헤겔에서 아감벤에 이르는 서구의 비판적 사유를 원전을 통해 공부하고 싶은 분 ◈ 진행 : 강의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됨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김경식 옮김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조만영, 박정호 옮김 ◈ 참여비 : 20만원(10강) ◈ 문병호 교수는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독문예학, 사회학, 철학을 전공하였고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철학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대학원과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여대에서 강의하였으며 광주여자대학교 문화정보학과 교수와 연세대학교 인문한국(HK) 교수로 일하였다. 현재는 아도르노 저작 간행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아도르노 저작의 번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사회비판과 문명비판에 관련된 연구 및 저서 집필을 병행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변증법적 예술이론의 현재적 의미」, 「자연-인간-사회관계의 구조화된 체계로서의 기술」, 「문화산업과 문화의 화해를 위하여」등 20여 편이 있으며, 저서로는 『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1993, 2001), 『서정시와 문명비판』(1995), 『비판과 화해』(2006), 『문화산업시대의 문화예술교육』(2007), 『바퀴와 속도의 문명사』(2008, 공저), 『왜 우리에게 불의와 불행이 반복되는가 –관리된 개별 인간과 예외 상태로서의 권력관계』(2015), 『한국 사회 정의 바로 세우기』(공저, 2015), 『정보혁명, 정보혁명 시대, 문화와 생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다』(공저, 2017)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아도르노의 『신음악의 철학』(2012, 공역), 『미학 강의 I』(2014), 『사회학 강의』(2014), 『베토벤. 음악의 철학』(2014, 공역), 『사회학 논문집 I』(2017)이 있다. 안내 및 참여 : [강좌] 비판철학교실-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역사와 계급의식》 https://cafe.naver.com/paideia21/14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