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이상운동질환의 핵심 뇌 영역, ‘기저핵’과 ‘선조체’의 이해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видео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загрузки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видео,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ClipSaver.ru
안녕하세요. 휴한의원 노원점 김헌 원장입니다. 휴한의원 노원점 홈페이지 http://www.hyoonowon.com/ 휴한의원 노원점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nikim72 02-934-9690 ‘기저핵(basal ganglion)’은 이상운동질환과 관련되는 핵심 뇌 영역으로서, ‘선조체(줄무늬체, corpus striatum)’, ‘시상하핵(시상밑핵, subthalamic nucleus)’, ‘흑질(substantia nigra)’ 3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서 선조체는 다시 ‘미상핵(꼬리핵, caudate nucleus)’, ‘피각(조가비핵, putamen)’, ‘담창구(창백핵, globus pallidus)’라는 3가지 구조로 이뤄져 있습니다. 참고로 담창구는 기능적으로 선조체와 별도로 봐야 한다고 주장될 정도로 매우 다른 특징을 보이는 조직입니다. 그래서 담창구를 ‘구선조체’, 나머지 피각과 미상핵을 ‘신선조체’라고 나누기도 합니다. 담창구와 피각을 합쳐 ‘렌즈핵(lentiform nucleus)’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형태학적으로 쐐기 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입니다. 미상핵은 다시 머리, 몸통, 꼬리 3부분으로 나뉩니다. 미상핵의 꼬리는 아래로 활모양으로 구부러지면서 앞쪽으로 진행하여 측두엽 속으로 들어가고 결국에는 ‘편도핵(amygdaloid nuceus)’과 연결됩니다. 선조체의 발생 과정에서 외측 내측 중간 선조능선이 나타나는데, 선조능선의 앞부분은 결국 미상핵의 머리를 형성하고 뒷부분은 미상핵의 꼬리와 편도체를 형성하는 것과 연관됩니다. 따라서 선조체는 불안과 공포, 스트레스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특히 틱장애 설명에서 많이 등장하는데, 틱처럼 불필요한 동작을 걸러 주는 역할에 관여합니다. 그리고 시상하핵은 충동적인 행동과 의도적인 움직임에 관여하고, 흑질은 움직임을 계획하고 감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저핵과 관련하여 이상운동질환 중 병터 국소화가 잘 되는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완만과 안정시떨림(resting tremor)은 흑질(substantia nigra), 무도증은 미상핵(caudate nucleus), 근긴장이상은 피각(putamen), 도리깨질(ballism)은 시상하핵(subthalamic nucleus)과 관련 있습니다. 이상으로 기저핵, 특히 선조체에 대한 이해에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